•  문윤희 기자
  •  승인 2021.12.07 07:35

골대사학회, 국회에 '대한민국 골절 예방 로드맵' 전달 
"골다공증 급증 배경엔 제한된 치료와 관리 있어"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급증하는 골다공증 환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골다공증 예방 캠페인과 조속한 치료, 관리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는 관련 학회의 지적이 나왔다. 

노인 골다공증과 골절에 대한 사회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과 사후관리, 약제의 급여기준 확대와 치료 보장, 전주기적인 골절 예방 관리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대한골대사학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한민국 골절 예방 2025 로드맵: 초고령사회 골다공증 골절 극복을 위한 치료 환경 개선과제 및 통합적 정책 제언'이라는 제목의 정책 제안서를 국회 각 정당에 잇따라 전달했다. 

학회가 정책제안서를 각당에 전달하며 적극적으로 나서는 배경에는 내년에 진행되는 대선이 있기 때문. 

의료계에서 우려되는 당면과제들이 각 정당 공약 수립에 반영될 경우 효과적진료와 치료 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다. 

"골절로 드러누운 채 노후 보내는 국민 없어야"

골다공증학회는 제안서를 통해 '대한민국 노인 골절 예방 2025 로드맵'을 공개하며 비전과 전략을 제시했다. 

2025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대한민국은 튼튼한 뼈에 기반한 건강하고 기동력 있는 역동적인 고령사회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골다공증 진단, 치료, 재골절 예방'을 아우르는 순차적 정책으로 골다공증 골절 예방 통합 관리체계를 수립하자는 것. 

이를 위한 6가지 실천 방안으로는 ▲골다공증 질환 인식 개선 사업 추진 ▲골다공증 첨단 약제의 치료지속 보장 ▲골절 초고위험군의 초기 재골절 예방 강화 ▲국가건강검진 내 골다공증 검사·사후관리 강화 ▲한국형 재골절 예방 서비스 시범사업 추진 ▲골절·골다공증 잴환관리 5개년 종합계획 수립 등이 담겨졌다. 

진단과 치료, 재골절 예방을 위한 개선과제로는 △대국민 질환 인식 개선 및 조기진단·사후관리 강화 △골다공증 약제의 급여기준 및 치료 보장 선진화 △전주기적 노인 골절 예방 관리체계 구축 등이 제시됐다. 

학회는 먼저 골다공증의 당면 과제로 골다공증 골절에 대한 '낮은 인지도'를 지목했다. 

골다공증 특성상 자각증상이 없어 대부분의 환자가 뼈가 부러진 뒤에야 병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 

골 소실이 급격히 시작되는 50대 이상의 국민을 대상으로 골절 예방관리 사업을 시행하고 대국민 홍보 사업을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 골다공증 첨단 약제의 지속치료 보장을 위해서는 '투여기간 제한'이라는 규정을 풀어 지속적인 약제 공급과 급여가 보장되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골절 초고위험군의 초기 재골절 예방 강화를 위해 골형성제제 급여 기준 개선, 건강검진 내 골밀도 검사 4년마다 시행, 골다공증 유질환자 대상 사후관리 강화, 만 65세 이상 노인 골절 환자 대상 '재골절 예방 시범사업' 추진,  질병청 및 보건소에서 '저소득층 골절 환자' 등록·교육·관리, 골다공증 및 골절 질환 관리법 제정 및 국가 관리사업 설계 등을 실행해야 할 정책 과제로 제시했다. 

학회 관계자는 "골다공증은 고령층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임에도 고혈압과 당뇨병 대비 국가 차원의 관리가 미비하다"면서 "고령층의 경우 중장년층 시기부터 관리해온 심뇌혈관질환보다 점점 더 거동 불편의 문제와 골절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으나 골다공증과 골절 관련 사업은 부재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골절 예방을 저해하는 현행 골다공증 지속치료 급여기준은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가 유일하다"면서 "급여기준 중 투여기간 제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골다공증 환자 중에서도 골절에 가장 취약한 '골절 초위험군'의 경우 골절 및 재골절 위험이 크기 때문에 해외에서는 골절 초고위험군의 경우 일반적인 골다공증 환자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한 약물 치료를 권고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순차치료에 보험급여가 되는 모순이 있다"면서 "골절 초위험군은 작은 충격에도 재골절 등 연쇄적으로 더 높은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골절 초고위험군을 위한 약물 치료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학회는 마지막으로 "골다공증 질환 및 질환 심각성에 대한 낮은 인지율은 낮은 자발적 검사율을 나타내고 있고, 국가가 시행하는 골밀도 검사는 골다공증 조기 발견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데도 시행 대상과 횟수는 매우 제한적"이라면서 "골다공증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돼 있는 골절 및 재골절은 노인 장기요양 진입률을 높여 건강하고 기동력 있는 국민의 노후를 가로막고 국가 재정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고 관련 정책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뼈가 부러져 고통 속에 불행한 노후 보내는 국민 없어야" - 뉴스더보이스헬스케어 (newsthevoice.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