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윤희 기자
  •  승인 2021.12.07 07:31

고혈압·당뇨병 대비 국가 차원 관리 미비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에도 관련 정책 부재 
노인 의료비 절감의 핵심 '골절' 관리 필요

한국은 2017년 고령사회 진입 후 전세계에 유례없이 빠른 속도의 고령화로 8년 후 인구의 20%가 65세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전체 의료비의 절반에 육박하고 있는 노인 의료비 역시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초고령사회에 대응하는 건강대책 중 노인 골다공증·골절에 대한 정책
은 부재한 상황이다. 

50~80세 인구에서 골다공증 고관절 골절 1건이 발생할 때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대비할 경우 정부 연금 지출은 평균 7000만원의 차이를 나타내며, 세수는 평균 5300만원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계에서는 골다공증으로 인한 고관절, 척추 골절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2025년까지 140%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처럼 노인 골다공증 환자에 골절이 발생하면 의료비용과 돌봄노동, 국가건보재정 등 가계와 국가 재정부담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지만 정작 이를 뒷받침할 정책은 전무한 상황이다. 

고혈압과 당뇨병처럼 국가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그래서 나온다. 

골대사학회는 최근 각 정당에 전달한 정책보고서를 통해 "현재 정부가 집중 관리하고 있는 고령층 만성질환은 중증 심뇌혈관질횐의 선행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등으로 주요 관리사업을 통해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면서 "고령층의 경우 중장년층 시기부터 관리해온 심뇌혈관질환보다 점점 더 거동 불편의 문제 및 골절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으나 골다공증과 골절 관련 사업은 부재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학회는 또 "세계 주요 국가들은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골다공증 통합관리 종합계획 및 로드맵을 구축해 추진 중"이라고 지적했다. 

학회에 따르면 호주는 '국가 골다공증 관리전략 실천계획'을 펴면서 ▲골다공증 질환 및 치료방법 인지 제고 국가 캠페인 실행 ▲골다공증 검진·관리 치료 강화 ▲골다공증 관련 데이터 수집·모니터링 및 전략적 연구 진행 등을 추진 중이다. 

뉴질랜드는 골다공증 골절 예방과 치료를 위해 국가적 역량 조직화에 대한 로드맵 '본 케어 2020'을 펴면서 ▲치료 표준화 및 고관절 골절 후 결과 향상 및 치료 질 향상 ▲일차 골절 후 이차 골절 예방을 위한 조치 ▲임상환자군에서 골밀도 측정을 통한 골절 위험 예측 ▲육체적 활동력과 건강한 생황을 유지하고 환경적 위험 요소를 감소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공중 보건 메시지 전달 등을 통해 단계적 접근과 비용 효과 극대화를 꾀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 ▲골다공증 전문 의료인 양성 ▲골다공증 및 골절 환자의 선제적인 발굴 ▲골밀도 검사 및 골다공증 치료 시작, 관리 ▲골절 위험에 따른 약물 처방 및 모니터링 지속 등의 핵심 전략을 담은 '골절 예방 프로그램 실시 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 사업'을 운영 중에 있다. 

골다공증의 낮은 인지율과 치료율 

국내에서 골밀도 검사율은 20%대를 보이고 있다. 또 골다공증 환자의 10명 중 4명은 진료를 통한 질환 관리에 나서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회는 "70세 이상 여성은 10명 중 7겸이 골다공증 환자"라면서 "진료를 받아야 할 직접적인 환자의 의료 이용률은 역설적이게도 70대 이후로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함께 적절한 치료에 따르는 약제 급여도 골다공증과 골절을 예방하는 하나의 허들로 작용하고 있다. 

학회는 "골다공증 환자들은 약해진 골 소실을 막아주거나 골 형성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약물치료로 골밀도를 골절 위험이 없는 상태까지 높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면서 "하지만 골다공증 약물 치료에 대한 건강보험 지원은 골밀도 T값 -2.5 이하일 경우 골다공증으로 진단돼 보험급여를 적용받을 수 있으나 약물 치료과정에서 골밀도가 -2.5 이상 초과되면 급여가 중단된다"고 지적했다. 

학회는 "영국과 호주, 캐나다 등 해외에서는 골다공증 치료제에 건강보험 급여가 필요한 경우, 투여기간에 제한없이 건강보험 지원혜택을 제공하고 있다"면서 "골흡수억제제의 지속치료 급여 기간에 골밀도를 기준으로 제한을 두는 나라는 전세계에서 한국이 유일하다"고 지적했다. 

학회는 또 "골절 초고위험군의 경우 골절 및 재골절 위험이 크기 때문에 해외에서는 골절 초고위험군의 경우 일반적인 골다공증 환자보다 더 적극적이고 강력한 약물 치료를 권고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 현행 급여기준은 골절 초위험군 환자에게 20년 전 개발된 기존의 골흡수 억제제를 1년 이상 투여 후 '새로운 골절이 발생해야만' 골형성 제제를 사용할 수 있게 돼 있다"고 강조했다. 

"골절에 따르는 의료적·사회경제적 심각성 높아" 

학회에 따르면 골다공증 골절 발생 후 4년 여까지 4명 중 1명 규모로 재골절이 발생되고 있고 재골절 1년 내 사망률은 고관절 골절의 경우 27.9%(남성)에 달하고 있으나 절반 이상의 골절 경험 환자들이 2차 골절을 예방하기 위한 골다공증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회는 "골절 경험이 있는 노인들은 정상 노인들에 비해 3년 일찍 장기요양에 진입하고 있다"면서 "이는 결국 노인 장기요양 진입률을 높여 건강하고 기동력 있는 국민의 노후를 가로막고 국가 재정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다공증·골절" - 뉴스더보이스헬스케어 (newsthevoice.com)
 

  •  문윤희 기자
  •  승인 2021.12.07 07:35

골대사학회, 국회에 '대한민국 골절 예방 로드맵' 전달 
"골다공증 급증 배경엔 제한된 치료와 관리 있어"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급증하는 골다공증 환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골다공증 예방 캠페인과 조속한 치료, 관리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는 관련 학회의 지적이 나왔다. 

노인 골다공증과 골절에 대한 사회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과 사후관리, 약제의 급여기준 확대와 치료 보장, 전주기적인 골절 예방 관리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대한골대사학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한민국 골절 예방 2025 로드맵: 초고령사회 골다공증 골절 극복을 위한 치료 환경 개선과제 및 통합적 정책 제언'이라는 제목의 정책 제안서를 국회 각 정당에 잇따라 전달했다. 

학회가 정책제안서를 각당에 전달하며 적극적으로 나서는 배경에는 내년에 진행되는 대선이 있기 때문. 

의료계에서 우려되는 당면과제들이 각 정당 공약 수립에 반영될 경우 효과적진료와 치료 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다. 

"골절로 드러누운 채 노후 보내는 국민 없어야"

골다공증학회는 제안서를 통해 '대한민국 노인 골절 예방 2025 로드맵'을 공개하며 비전과 전략을 제시했다. 

2025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대한민국은 튼튼한 뼈에 기반한 건강하고 기동력 있는 역동적인 고령사회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골다공증 진단, 치료, 재골절 예방'을 아우르는 순차적 정책으로 골다공증 골절 예방 통합 관리체계를 수립하자는 것. 

이를 위한 6가지 실천 방안으로는 ▲골다공증 질환 인식 개선 사업 추진 ▲골다공증 첨단 약제의 치료지속 보장 ▲골절 초고위험군의 초기 재골절 예방 강화 ▲국가건강검진 내 골다공증 검사·사후관리 강화 ▲한국형 재골절 예방 서비스 시범사업 추진 ▲골절·골다공증 잴환관리 5개년 종합계획 수립 등이 담겨졌다. 

진단과 치료, 재골절 예방을 위한 개선과제로는 △대국민 질환 인식 개선 및 조기진단·사후관리 강화 △골다공증 약제의 급여기준 및 치료 보장 선진화 △전주기적 노인 골절 예방 관리체계 구축 등이 제시됐다. 

학회는 먼저 골다공증의 당면 과제로 골다공증 골절에 대한 '낮은 인지도'를 지목했다. 

골다공증 특성상 자각증상이 없어 대부분의 환자가 뼈가 부러진 뒤에야 병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 

골 소실이 급격히 시작되는 50대 이상의 국민을 대상으로 골절 예방관리 사업을 시행하고 대국민 홍보 사업을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 골다공증 첨단 약제의 지속치료 보장을 위해서는 '투여기간 제한'이라는 규정을 풀어 지속적인 약제 공급과 급여가 보장되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골절 초고위험군의 초기 재골절 예방 강화를 위해 골형성제제 급여 기준 개선, 건강검진 내 골밀도 검사 4년마다 시행, 골다공증 유질환자 대상 사후관리 강화, 만 65세 이상 노인 골절 환자 대상 '재골절 예방 시범사업' 추진,  질병청 및 보건소에서 '저소득층 골절 환자' 등록·교육·관리, 골다공증 및 골절 질환 관리법 제정 및 국가 관리사업 설계 등을 실행해야 할 정책 과제로 제시했다. 

학회 관계자는 "골다공증은 고령층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임에도 고혈압과 당뇨병 대비 국가 차원의 관리가 미비하다"면서 "고령층의 경우 중장년층 시기부터 관리해온 심뇌혈관질환보다 점점 더 거동 불편의 문제와 골절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으나 골다공증과 골절 관련 사업은 부재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골절 예방을 저해하는 현행 골다공증 지속치료 급여기준은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가 유일하다"면서 "급여기준 중 투여기간 제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골다공증 환자 중에서도 골절에 가장 취약한 '골절 초위험군'의 경우 골절 및 재골절 위험이 크기 때문에 해외에서는 골절 초고위험군의 경우 일반적인 골다공증 환자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한 약물 치료를 권고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순차치료에 보험급여가 되는 모순이 있다"면서 "골절 초위험군은 작은 충격에도 재골절 등 연쇄적으로 더 높은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골절 초고위험군을 위한 약물 치료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학회는 마지막으로 "골다공증 질환 및 질환 심각성에 대한 낮은 인지율은 낮은 자발적 검사율을 나타내고 있고, 국가가 시행하는 골밀도 검사는 골다공증 조기 발견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데도 시행 대상과 횟수는 매우 제한적"이라면서 "골다공증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돼 있는 골절 및 재골절은 노인 장기요양 진입률을 높여 건강하고 기동력 있는 국민의 노후를 가로막고 국가 재정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고 관련 정책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뼈가 부러져 고통 속에 불행한 노후 보내는 국민 없어야" - 뉴스더보이스헬스케어 (newsthevoice.com)

 엄태선 기자/  승인 2021.12.07 07:35


30곳 평균 14억원으로 전년 12억원 대비 19% 증가
한미약품 251억원으로 최대...HK이노엔 149억원 순
비보존 1141% 증가 최고...동화, SK바이오사이언스 순

국내제약사들이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도 직원의 복리후생은 확대해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제약 30곳의 지난 3분기 누적 기준 복리후생비(연결제무제표)는 평균 14억원으로 전년동기 12억원 대비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별 복리후생비을 보면 한미약품이 251억원을 사용해 규모면에서 여타 제약사를 뒤로 했다. 전년동기 243억원 대비 4% 늘었다.

HK이노엔은 149억원으로 전년동기 146억원 대비 2% 늘어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한미약품의 뒤를 이어 두번째로 많은 금액이었다. 

대웅제약은 108억원으로 전년동기 93억원 대비 15% 늘어면서 규모면에서 상위 세번째를 기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00억원으로 전년동기 72억원 대비 40% 급증했으며, 종근당이 83억원으로 전년동기 91억원 대비 -9%를 나타내면서 주춤했다. 

이어 광동제약이 82억원으로 전년동기 84억원 대비 -1%, 녹십자는 81억원으로 전년동기 73억원 대비 10% 늘었다. 다만 녹십자의 경우 복지증진비가 포함된 것이다.   

동아에스티는 79억원으로 전년동기 73억원 대비 3%, 일동제야근 69억원으로 전년동기 71억원 대비 -2%, 유한양행은 56억원으로 전년동기 54억원 대비 3%, 보령제약은 52억원으로 전년동기 50억원 대비 3%, 삼진제약은 51억원으로 전년동기 45억원 대비 13% 증가했다. 

증감률로 보면 비보존헬스케어가 1141% 증가로 최고치를 찍으며 여타 제약사의 최상위에 올랐다. 20억원으로 전년동기 2여억원 대비 18억원 이상 늘었다. 

동화약품이 94%를 나타내면서 비보존의 뒤를 따랐다. 3억원으로 전년동기 2억원 대비 1억원 이상 증가했다. 다만 규모에서는 30개 제약사 중 가장 적은 복리후생비를 찍었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23억원으로 전년동기 14억원 대비 64%, 삼성바이오로직스가 40%, JW중외제약이 28억원으로 전년동기 21억원 대비 32% 순이었다. 

복리후생비가 역성장한 경우는 안국약품이 19억원으로 전년동기 29억원 대비 10억원이 줄어 -32%를 나타내며 최고를 기록했다. 

신풍제약도 6여억원으로 전년동기 7억원 대비 -25%, 대원제약이 40억원으로 전년동기 46억원 대비 -14% 순이었다. 

이밖에 전년동기 대비 일양약품이 19%, 삼일제약 17%, 영진약품 15%, 휴젤과 휴온스가 각 14%, 동국제약 7%, 유나이티드제약 3%, 이연제약 2%, 제일약품과 셀트리온제약이 각 1%, 부광약품 -1%를 기록했다.   

한편 복리후생비는 법인세법상 비용인정범위는 직장체육비나 회식비, 야유회 관련 비용 등 직장연예비, 우리사주조합의 운영비, 건강보험법 및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따라 회사가 부담하는 보험료 및 부담금 등이 포함된다. 

국내제약, 코로나19 속에서도 '직원 복리후생' 챙겼다 - 뉴스더보이스헬스케어 (newsthevoice.com)

 

뉴스더보이스헬스케어

뉴스더보이스는 헬스케어분야 다양한 목소리를 대변하는 의약전문언론이며,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증진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www.newsthevoice.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