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태선 기자/ 승인 2021.06.07 06:13

84년 설립 37년 중견제약으로 발돋움...매출 다변화 집중
경피약물전달기술 등 라이센싱 사업 세계서 주목 확장세
2000년 백만불 수출...2003년 코스닥 사장으로 투명 공개
2004년 씨트리 계열회사 편입...2011년 CI변경 새 얼굴로
미국과 중국서 '리포락셀' 임상...대전환 밑거름 만들기 중

 

국내 시장은 이제 포화상태이다. 잠재력이 있는 세계의 넓은 시장을 개척하는 목표를 세운 제약사가 있다. 각국의 규제 등을 뚫고 제품을 수출하는 길을 모색하고 있는 곳, 바로 대화제약이다.

대화제약은 지난해 다소 영업부진으로 다소 주춤하는 분위기를 연출했지만 올해 반전을 기하기 위한 기지개를 켜고 있다. 코로나19로 위축된 해외공략을 조금씩 시동을 걸고 있는 것.

이와 함께 연구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매출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음에도 연구비에 쓰는 비용은 아끼지 않고 있다. 결국 답은 좋은 제품을 개발해 세계시장에 판매하겠다는 전략을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대화제약은 지난 1984년 1월 설립된 37년의 중견제약사로 성장했다. 종속회사와의 연결로 1000억원의 매출 규모를 보이고 있으며 전문 및 일반 의약품을 비롯한 원료약 제조판매와 도매를 주요 사업 모델로 취하고 있다.

2000년 백만불 수출을 시작으로 2003년 코스닥 상장을 통해 기업을 투명하게 공개, 2004년 씨트리 계열회사 편입, 2011년 CI변경을 통해 세계시장을 향한 새얼굴을 내밀었다.

최근들어 의료기기와 의료정보시스템, 화장품, 해외시장 등 사업다각화에 눈을 돌리고 있다.

특히 경피약물전달기술(TDDS) 등 라이센싱 사업을 통해 세계기술수출은 물론 독일 관계와의 협력을 통해 미용의료기기와 화장품 영역 확장, 중국 파트너와 합작회사를 설립해 TDDS제품군 등의 전략적 사업영역 확대도 추진중에 있다. 여기에 러시아와 유라시아, 중동, 북아프리카 권역에 제품 인허가 프로젝트를 진행중에 있어 글로벌 사업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결과, 현재 해외시장 20개국에 제품 수출하는 가운데 향후 추가로 30여개 국가와 계약체결 및 허가진행을 통해 신규 제품을 공급, 총 50개국으로 발을 넓힐 예정이다.
여기에 의욕적으로 추진중인 미국과 중국내 유방암치료제 '리포락셀' 임상을 고성장의 발판으로 삼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대화제약이 올해 '모처럼 잘했다'는 결실을 내놓을 수 있을지 사업보고서와 1분기 실적 등을 통해 그 가능성을 살펴본다.

 

◆실적 버팀목, 주요 품목과 그간의 실적

대화제약의 버팀목은 항균 항생제이다. 의약품 제조판매부문을 100%로 볼때 '세파메칠정' 등이 매출에 차지하는 비중이 8.34%에 달했다. 지난해 기준이다. 매출액은 69억원이다. 지난 1분기에는 14억원으로 6.95%를 달렸다.

또 '후로스판정' 등 진경제가 39억원으로 4.74%의 매출비중을 나타내며 그 뒤를 따랐다. 지난 1분기는 10억원을 기록해 4.96%의 비중을 찍었다. 무기질제제인 '마그네스정'이 3.3%로 27억원의 매출규모를 보였다. 올 1분기는 7억원을 나타내면서 3.32%의 매출 비중을 그렸다.

그밖에 패치류인 OEM이 201억원으로 24.4%의 매출비중을, 올 1분기에는 56억원으로 27.19%를 기록해 지난해 대비 높아졌다. 기타 탑스타틴정 등에서 447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매출의 54.26%를 나타냈으며 지난 1분기 106억원을 올려 51.47%의 매출비중을 기록했다.

유비스트의 예측결과, 세파메칠과 후로스판 외 '잘트론'과 '유파딘', '탑스타틴', '글리아나', '탑스타틴에프', '클로피도', '테리락스', '헤모렉스'이 지난해 10억원대 이상의 처방조제액을 기록해 주요품목에 속한 것으로 보인다.


상품의 경우 '아말리안' 등 안면부 피부의 일시적인 주름개선 의료기기가 25억원으로 3.05%의 매출비중을, 올 1분기에는 8억원 가량의 매출을 올려 3.76%의 비중을 보여 상승세를 그리기 시작했다.

매출실적을 보면 의약분업이 있던 2000년 139억원의 매출규모를 달렸다. 2001년 207억원, 2002년 239억원, 2003년 236억원, 2004년 286억원, 2005년 339억원으로 지속 성장했다.

이어 2006년 376억원, 2007년 463억원, 2008년 484억원, 2009년 575억원, 2010년 스폐셜라이즈드메드 등에 연결매출로 982억원, 2011년 1420억원까지 치솟았다. 2012년 1432억원이었다. 대화제약 별도매출로는 2012년 602억원이었다.

2013년 연결매출 1280억원, 2014년 1349억원, 2015년 1391억원이었으며 별도매출로 2015년 722억원에 달했다. 이후 2016년 연결매출 1423억원, 2017년 1222억원, 2018년 1101억원으로 추락했다. 2017년 별도매출 858억원을 기록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2018년 800억원으로 역시 주춤했다.

연결매출 2019년 1146억원, 2020년 1093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별도매출은 2019년 893억원, 2020년 823억원을 달성하면서 주저앉았다.

지난 1분기에는 어떠했을까. 연결기준 275억원으로 전년동기 274억원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별도매출도 206억원으로 205억원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1분기에 그간의 부진을 멈추고 다시금 상승세의 여지를 남기며 2분기 호실적의 기대될 지 주목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20080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5.10 06:30

지난 3월 변경...2019년 엑세스바이오 인수로 새로운 '키' 마련
말라리아와 독감 진단키트 이어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 봇물
1961년 설립후 순환기-소화기-CNS-항생제 등 라인업 구축
혈액 투석제 시설 투자와 화장품-건식 등으로 확장세

경기 향남공단 내 공장 모습.

 

해 60년의 나이를 먹은 기업이 있다. 지난 1961년 당시 '수도약품공업'으로 이름을 알린 회사다. 5년 뒤 법인으로 전환됐다. 이후 오랜 기간 수도약품의 상호를 이어오다가 지난 2008년 우리들생명과학으로, 2009년 다시 우리들제약으로 새롭게 출발했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였다. 코로나19가 지속되고 있는 올해 3월 다시금 팜젠사이언스로 얼굴을 바꿔 세계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진단키트의 수출을 발판으로 새로운 영역에서의 힘을 발휘하고 있다.

그간의 행적을 보면 67년 의약품제조허가를 취득한 이후 75년 경기도 부천에 공장을 신축, 88년 화성 향남단지로 공장을 신축 이전했다. 90년 코스피 사장을 통해 기업을 투명하게 공개하기 시작했으며 99년 수출 백만불을 넘어섰다. 의약분업 직전인 2000년 봄 중앙연구소를 설립해 연구개발에도 진력을 다했다.

이후 2005년 수도정밀화학을 설립하고 한스바이오메드를 인수, 2006년 미국 메디바스사와 공동신약개발 및 합작투자를, 2016년 중국시장 개척을 위한 중국지사를 설립했다.

2017년 혈액투석제 생산라인을 증설하고 이듬해 유전자 기반 바이오기업 '커넥타젠'과 정밀의료분야 기술협약 및 지분투자에 이어 2019년 체외진단 전문기업인 '엑세스바이오'를 인수하면서 뜻밖의(?) 전기를 마련하게 됐다. 지난해 콜롬비아 20억 규모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을 비롯해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 개발을 추진하는 등 시대흐름에 발빠르게 대응해나가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순환기-소화기-CNS-항생제 등 치료제중심으로 내수위주로 사업을 영위하는데 그쳤지만 최근 사업다각화를 통해 혈액 투석제 시설 투자와 화장품-건강식품, 진단시약으로 영역을 확장하면서 성장을 꾀하고 있다.

팜젠사이언스가 공개한 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주요 제품과 그간의 실적, 연구개발, 인력조직, 관계사 등에 대해 살펴봤다.

 

◆주요 품목과 그간의 실적

처방시장에서 주목되는 품목은 혈압강하제의 '바르디핀'이 지난해 기준 62억원읠 매출을 올려 전체 매출의 6.44%의 비중을 나타냈다. 혈관치료제인 '리바틴'은 45억원으로 4.7%의 비중을 보였다.

또 이외 주요 처방약은 지난해 유비스트 기준으로 급성위염치료제 '아르시딘' 43억원, 중추신경용약 '알포레인' 34억원, '뉴로스' 24억원, '크바스틴'과 '마이코졸' 약 21억원 수준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9일 기준 허가품목은 아직 우리들제약으로 허가된 2품목 포함해 303품목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중 일반약 71품목, 전문약 232품목이었다.

 

매출 추이를 보면 1998년 14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의약분업 시작후 2001년 172억원, 2005년 279억원, 2006년 440억원으로 급증하기 시작했다. 2009년 487억원, 2010년 439억원, 2012년 303억원으로 다시 내려앉았다. 이후 2013년 390억원, 2014년 442억원, 2015년 604억원, 2016년 715억원, 2017년 799억원으로 상향곡선을 유지하며 올라섰다.

이어 2018년 891억원, 2019년 951억원, 2020년 966억원까지 오르면서 1000억원 고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올해 큰 무리가 없이 순증한다면 1000억원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조직과 연구개발과제 현황

팜젠사이언스는 경기도 소재 중앙연구소와 서울 소재 개발본부로 나뉜다. 중앙연구소는 미래지향적 플랫폼 기반 기술 개발과 신제품 및 자사제조 전환 제품개발을 하는 '제제1팀'과 개량신약과 신제품 및 일반약 개발을 하는 '제제2팀'이 있다. 개발본부는 신제품 개발 검토를 개발팀에서, 식약처 인허가는 'RA팀'이 맡고 있다.

연구개발 인력은 지난해말 기준 연구개발 부문 대표이사를 포함해 박석사급 13명 등 총 20명이 근무중이다. 핵심인력은 대화제약 개발부 이사를 지낸 김혜연 대표이사가 연구개발 총괄을 맡고 있다. 삼천당제약 연구부장이었던 정제교 연구소장, JW중외제약 연구지원실장을 지낸 서동철 개발본부장, 다산제약 수석연구원 출신 길희주 제제2팀장, 대봉LS연구소를 거친 손한일 RA팀장이 이끌고 있다.

 

연구개발에 쓰는 비용은 매출대비 1%대를 이어가고 있어 그리 높지는 않다. 2018년 14억원으로 매출 대비 1.5%의 비중을 보이다가 2019년 10억원으로 1%, 지난해 12억원으로 1.3%를 이어갔다. 전체 규모에 비해 연구개발 예산에 투입되는 비용이 매우 낮은 편이다.

현재 연구개발중인 과제는 개량신약으로 지난해 기타순환계용약인 '포도씨건조엑스정제'에 대한 제제연구에 들어갔다. 이밖에 제네릭 제제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18품목에 대한 원료합성 또는 임상1상, 제제연구를 지난해 시작했다. 신약 개발을 위한 도전보다는 업체 특성과 전략적인 선택으로 개량신약과 제네릭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임직원과 주주, 계열회사 현황

등기임원으로는 조아제약 특수사업부장이었던 박희덕 대표이사가 경영전반을 총괄하며 김혜연 대표이사가 연구개발총괄을, 종근당 개발전략 팀장이었던 류남현 이사가 부회장을, NHS대표이사를 지낸 이승열 이사가 관리를, 도매사업본부장을 지낸 윤동화 이사가 영업(도매)를 책임지고 있다. 이들의 평균보수액은 1억5299만원이었다.

미등기 임원은 신현대 전무이사와 이해두 전무이사가 영업을, 정제교 이사가 연구소, 최철희 이사가 구매를 담당하고 있다. 이들의 1인평균 급여액은 1억1687만원이었다.
직원은 지난해말 기준 260명이 근무중이며 남직원 200명, 여직원 60명이었다. 1인 평균급여액은 6203만원이었다.

주주는 에이치디투자조합이 5.91%의 지분을 보유해 최대주주였다. 에이치디투자조합의 경우 박희덕 대표이사가 5%의 지분을, 최대주주(최대출자자)는 한의상 씨가 23.7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99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4.08 06:27

[제약살이=이 회사가 살아가는 법]유한양행---⑩주주에게 꽃 '배당금'


1997년 주당 500원서 2019년 2000원으로 증가
지난해 액면가 분할로 배당금 400원으로 낮아져

주식회사의 꽃은 뭐니뭐니해도 주주에게 제공되는 이익금 배분이다. 유한양행은 최근 20년여년간 성실하게 수익을 올려 회사의 주인인 주주들에게 현금으로 배당금을 챙겨줬다.

주식상승과 함께 매년 배당금을 제공하는 것은 주주가 받는 혜택 중의 하나.

유한양행은 당초 주식 액면가 5000원이었으나 지난해 5분의 1로 분할해 1000원으로 액면가를 조정했다. 그에 따라 주식수가 5배 증가한 만큼 배당금은 5분의 1로 줄었다.

회사마다 상황에 따라 주식을 배당하는 형식을 취하기도 하지만 유한양행은 통상적인 주당 현금을 제공하는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유한양행은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보통주와 의결권이 없고 먼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주는 우선주로 나눠 배당을 진행하고 있다. 통상 우선주가 보통주에 비해 50원씩 많게 제공되고 있었다.

1997년 주당 지급된 현금배당금은 500원이었다. 우선주는 550원이었다.

이듬해 600원으로 늘었고 1999년 1000원까지 상승해 무려 400원이 뛰어올라 가장 높은 상승폭을 나타냈다. 다만 의약분업이 있었떤 2000년 750원으로 주저앉으며 주춤했다.

이어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동안 배당금은 정중동으로 움직이지 않았다. 1000원의 배당금을 제공한 것이다. 물론 우선주는 1050원으로 역시 50원을 더 줬다.

변화는 2011년부터 다시 시작됐다. 2011년 1250원, 2013년 1500원까지 상승했다.

이후 2014년 1750원, 2015년 2000원까지 뛰어오르면서 넉넉한 배당금을 주주들에게 제공하면서 주식보유의 든든함을 느끼게 했다. 물론 2019년까지 5년간 더이상 높아지지는 않고 제자리걸음을 걸었다.

지난해 주식분할에 따른 배당금도 5분의 1로 줄었다. 주당 현금 400원이 배당금으로 책정돼 제공됐다. 우선주는 410원으로 10원을 더 배당됐다.

유한양행의 지난해 연결 당기순이익은 1904억원이었으며 별도 당기순이익은 1933억원이었다. 연결 주당순이익은 29억원, 현금배당금 총액은 249억원이었다. 현금배당수익률은 0.5%였다. 앞서 2019년에는 현금배당금 총액이 238억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9억원 가량 적었다. 다만 현금배당수익률은 0.8%로 더 높았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89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