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민후 기자
- 승인 2020.11.25 06:27
안드로겐수용체억제제...내년 도입 가능성 제기
한국얀센이 전립선암 치료제 라인업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얀센 측은 안드로겐수용체억제제 ‘얼리다(아팔루타마이드)’ 도입을 계획 중이다.
구체적인 계획은 알려지지 않았다. 일각에선 빠르면 내년쯤 국내에서도 해당약물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얼리다는 미국 등에서 두 가지 적응증을 보유하고 있다. 2018년 상용화의 발판이 된 적응증은 비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nmCRPC)이다. 근거는 SPARTAN 임상시험(3상) 결과가 제공했다. 해당 임상시험은 비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 1200여명이 참여했다. 참여자들은 얼리다(+안드로겐박탈치료; ADT) 또는 위약(+ADT)을 통해 치료 받았다.
그 결과, 무전이생존기간(MFS) 중앙값은 얼리다군 40.5개월, 위약군 16.2개월이었다. 얼리다군이 위약군보다 원격전이 및 사망 위험이 72% 줄어든 것으로 해석됐다.
두 번째 적응증은 전이성 거세민감성전립선암(mCSPC)이다. 관련 효능은 TITAN 임상시험(3상)에서 확인됐다. 해당 임상시험은 전이성 거세민감성전립선암 환자 1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연구진은 환자들을 얼리다(+ADT) 투여군 또는 위약(+ADT)군에 배정한 뒤 경과를 지켜봤다.
연구결과, 전체생존기간은 두 군에서 모두 중앙값에 도달하지 않았다. 2년 시점 전체생존율은 얼리다군 84%, 대조군 78%였다. 전체적으로 얼리다군이 대조군 대비 사망위험이 33% 낮은 결과로 풀이됐다.
방사선학적 무진행생존기간(rPFS)은 얼리다군에서 중앙값에 도달하지 않았고, 대조군에서 22.1개월로 조사됐다. 2년 시점 방사선학적 무진행생존비율은 두 군에서 차례대로 68.2%, 47.5%로 집계됐다.
더 자세한 사항은...아래를..
'오늘의 제약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높은 벽 실감한 '한국판 CDF' 법안...사실상 서랍속으로 (0) | 2020.11.27 |
---|---|
콜린제제 '급여기준 축소' 소송 쟁점 3가지로 압축 (0) | 2020.11.27 |
내년에 희소식 나올까...싱가포르 제조소 상호인정 가능 (0) | 2020.11.25 |
리베이트 과징금 대체·한국판 CDF도입법안 본격 심사 (0) | 2020.11.23 |
70년 역사 부광약품, 파킨슨병 신약개발로 새 전기 마련 (0) | 2020.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