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민후 기자
- 승인 2020.12.30 06:24
KdD 전략 국내 도입 예정…레날리도마이드 불응 환자 대안으로 주목

다발골수종 치료제 ‘키프롤리스(암젠코리아)’는 국내에서 덱사메타손 병용요법 또는 레날리도마이드+덱사메타손 병용전략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 한 가지 전략이 더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암젠코리아는 ‘키프롤리스+덱사메타손+다잘렉스(한국얀센)’ 병용요법 도입 작업을 진행 중이다.
진척 상황 등에 대해선 알려지지 않았다. 제약사측은 내년 중 해당 병용요법을 국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작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키프롤리스+덱사메타손+다잘렉스(KdD) 전략은 올해 8월 미국에서 허가됐다. 근거는 CANDOR 임상시험(3상) 등의 결과가 제공했다. CANDOR은 재발성 다발골수종 환자 46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환자들은 볼테조밉·레날리도마이드 등을 통해 1~3차 치료를 경험한 상태였다. 연구진은 환자들에게 KdD 또는 키프롤리스+덱사메타손(Kd)을 투여하며 경과를 지켜봤다. 무진행생존기간(PFS), 객관적반응률(ORR) 등은 주요지표로 측정됐다.
그 결과, 무진행생존기간은 KdD 투여군에서 중앙값에 도달하지 않았고, Kd군에서 15.8개월로 집계됐다. 이는 KdD군이 대조군에 견줘 질환 진행 및 사망 위험이 37% 줄어든 것으로 읽힌다.
객관적반응률은 KdD군 84.3%(완전반응:28.5%), Kd군 74.7%(10.4%)였다. 12개월 시점 미세잔존질환 음성(MRD-negative) 비율은 두 군에서 각각 12.5%, 1.3%로 조사됐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943
'오늘의 제약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혈관분야 의료 질, 세계 최고 수준으로 올릴 것" (0) | 2021.01.04 |
---|---|
한국화이자의 2020년, 항암제 접근성 개선 성과 (0) | 2020.12.30 |
제네릭 품질신뢰성 확보...생동평가-비교용출기준 강화 (0) | 2020.12.30 |
(수첩)메디톡스 vs 대웅, 14년 갈등 '이젠 멈춤의 시간' (0) | 2020.12.28 |
안과영역 특화기업 삼천당제약, 바이오시밀러 개발 주목 (0) | 2020.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