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7.15 06:11

 

[제약살이=이 회사가 살아가는 법]

◆종근당---②주요제품 실적

상품 자누비아-케이캡-프리베나 성장에 자사 제품도 덩달아
평생관리질환 품목과 면역-식욕억제제, 위식도역류질환 주목
녹내장-비뇨기감염-치매치료제 등도 매출비중 상승세 이어져

연매출 1조원대를 달리고 있는 종근당을 이끌고 있는 주요품목은 어떤 것일까.

지난주에는 종근당이 보유하고 있는 품목 현황을 살펴봤다면 이번 시간에는 주요 제품들이 실제 얼마만큼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지 잠시 살펴보고자 한다.

가장 높은 매출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한국엠에스디의 당뇨병치료제 '자누비아'였다. 지난해 기준 전체 매출의 11.29%의 비중을 차지했다. 147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여기에는 자누메트정과 자누메트XR서방정도 함께 포함된 매출이다.

지난 1분기 매출은 어때했을까. 자누비아는 399억원으로 전년동기 345억원 대비 54억원이 늘어 15.7%의 증가율을 보였다. 매출비중은 12.8%로 지난 한해 올린 비중을 훌쩍 넘었다.

그 다음으로 높은 매출비중을 나타난 품목은 화이자제약의 폐렴구균백신 '프리베나'를 비롯해 에이치케이이노엔의 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 '케이캡', 고지혈증치료제 '아토젯', 뇌혈관질환치료제 '글리아티린'이 5%대를 보였다.

먼저 프리베나는 지난해 738억원을 달성해 5.66%의 매출비중을 보였다. 지난 1분기에는 28억원으로 전년동기 147억원 대비 크게 줄었다.

이어 케이캡은 지난해 719억원의 매출을 보이면서 전체 매출의 5.52%의 비중을 찍었다. 지난 1분기에는 237억원을 달성해 전년동기 130억원 대비 무려 107억원이 증가해 기염을 토했다.

아토젯은 지난해 682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5.23%의 비중을 나타냈다. 지난 1분기 191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153억원 대비 38억원이 늘었다. 24.8% 증가한 수치다.

최근 재평가로 이슈가 되고 있는 콜린제제 글리아티린은 지난해 664억원으로 5.09%의 비중을 보였다. 지난 1분기에는 168억원을 달성해 전년동기 145억원 대비 15.9%의 증감률을 나타냈다.

골다공증치료제 '프롤리아'에 이어 고혈압치료제 '딜라트렌', 고지혈증치료제 '리피로우,' 골관절염치료제 '이모튼'이 3~4%대의 매출비중을 보이며 종근당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

프롤리아는 지난해 535억원을 기록하며 전체의 4.1%의 매출비중을 보였다. 1분기 138억원을 달성해 105억원 대비 33억원이 증액, 31.4%의 증가율을 그렸다.

딜라트렌은 딜라트렌SR캡슐을 포함해 지난해 505억원의 매출을 끌어올렸다. 3.88%의 비중이었다. 지난 1분기에는 98억원으로 전년동기 123억원 대비 주춤했다.

리피로우는 어떨까. 지난한해 428억원의 매출을 올려 3.29%의 매출비중을 보였다. 지난 1분기 100여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93억원 대비 7억원 가량 늘어났다.

오는 23일부터 '성인 무릎 골관절염'에만 급여가 이뤄짐에 따라 하반기 다소 시장위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 이모튼은 지난해 40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지난 1분기에는 116억원을 올려 전년동기 85억원 대비 무려 31억원이 늘었다. 36.5%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그럼 매출비중이 2%대에 이르는 품목은 어떤 제품들이 자리잡고 있을까.

장기이식에 쓰이는 면역억제제 '타크로벨'과 '사이폴엔', 고혈압치료제 '텔미누보', 동맥경화용제 '프리그렐'이 여기에 포함된다.

타크로벨정과 타크로벨주, 타크로벨서방캡슐 등에서 지난해 38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매출비중은 2.92%였다. 올해들어 1분기에 99억원을 올려 매출 비중이 3.16%로 높아졌다. 전년동기 91억원 대비 8억원이 늘었다.

사이폴엔은 300억원을 달성, 비중은 2.3%였다. 지난 1분기에는 70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68억원 대비 소폭 증가해 긍정적이었다.

텔미누보는 지난 한해동안 340억원의 매출을 보이면서 매출비중 2.61%를 나타냈다. 지난 1분기에는 87억원으로 전년동기 81억원 대비 6억원이 증가했다.

프리그렐은 267억원의 매출을 올려, 매출비중 2.03%였다. 지난 1분기에는 66억원을 매출을 보이면서 전년동기 59억원 대비 7억원 가량 더 올리면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2021년 1분기 주요품목 현황


이밖에 종근당에는 많은 품목들이 성장의 동력으로 자리잡고 있다.

식욕억제제 '큐시미아'는 지난해 기준 201억원, 고지혈증치료제 '바이토린' 186억원, 녹내장치료제 '잘라탄' 136억원, 고혈압치료제 '칸데모어' 126억원, 면역억제제 '마이렙트' 124억원, 비노기감염치료제 '타조페란' 116억원, 종합비타민 '벤포벨' 111억원, 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 '에소듀오' 110억원, 치매치료제 '아리셉트' 106억원을 기록하며 종근당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 이들 품목들로 올해 들어 대부분 성장세를 보이며 순항하고 있다.

1분기에 큐시미아 53억원을 비롯해 바이토린 47억원, 잘라탄 33억원, 칸데모어 30억원, 마이렙트 35억원, 에소듀오 30억원, 타조페란 29억원, 벤포벨 27억원, 아리셉트 26억원으로 승승장구하고 있다. 조만간 공개될 2분기 실적에 더욱 관심이 모아지는 이유다.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20920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5.18 06:31

 

대원-신풍-대한약품-경동 위축...동구바이오-이연은 상향

지난 1분기에 유한양행과 유유제약은 규모를 키웠으나 광동제약과 제일약품, 일동제약은 이에 동승하지 못했다.

국내제약사 18곳이 17일 금융감독원에 공개한 1분기 실적에 따르면 대부분의 제약사들이 1분기에 저조한 실적을 나타냈다.

먼저 유한양행은 379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면서 전년동기 3133억원 대비 무려 21%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도 139억원을 올리며 전년동기 11억원 대비 1164% 늘었다. 반면 순이익은 210억원으로 전년동기 1154억원 대비 -83%를 기록했다.

유유제약도 265억원의 매출을 보여 전년동기 232억원 대비 14% 늘었다. 다만 이익은 위축됐다.

이와 반대로 광동제약은 2941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면서 전년동기 3007억원 대비 -2%를 보이며 주춤했다. 영업이익도 85억원으로 전년동기 110억원 대비 -23%, 순이익도 69억원으로 전년동기 112억원 대비 -38%를 기록했다.

제일약품은 매출 1705억원으로 전년동기 1708억원과 비슷한 수준을 달렸다. 이익은 적자로 전환됐다. 일동제약도 1333억원의 매출을 달성해 전년동기 1388억원 대비 -4%를 찍었다. 이익도 전년동기에 이어 적자를 유지했다.

대원제약과 신풍제약, 대한약품, 경동제약도 위축된 분위기를 연출한 반면 동구바이오과 이연제약은 순성장을 보였다.

대원제약은 750억원의 매출을 달성하면서 전년동기 806억원 대비 -7%, 신풍제약도 450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년동기 491억원 대비 -8%, 대한약품은 391억원으로 전년동기 428억원 대비 -9%, 경동제약도 390억원으로 전년동기 409억원 대비 -5%를 보이면서 저조했다.

동구바이오는 364억원으로 전년동기 342억원 대비 6% 매출이 증가했으며 이연제약도 336억원으로 전년동기 324억원 대비 4% 늘어 순증을 그렸다. JW신약도 241억원으로 전년동기 237억원 대비 2% 성장했다.

이밖에 삼일제약과 메디톡스, 알리코제약, 국제약품은 각각 -1%, -6%, -1%, -17%의 매출 증감률을 그리며 추락했다. 대화제약은 제자리걸음을 했다.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9695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5.10 06:30

지난 3월 변경...2019년 엑세스바이오 인수로 새로운 '키' 마련
말라리아와 독감 진단키트 이어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 봇물
1961년 설립후 순환기-소화기-CNS-항생제 등 라인업 구축
혈액 투석제 시설 투자와 화장품-건식 등으로 확장세

경기 향남공단 내 공장 모습.

 

해 60년의 나이를 먹은 기업이 있다. 지난 1961년 당시 '수도약품공업'으로 이름을 알린 회사다. 5년 뒤 법인으로 전환됐다. 이후 오랜 기간 수도약품의 상호를 이어오다가 지난 2008년 우리들생명과학으로, 2009년 다시 우리들제약으로 새롭게 출발했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였다. 코로나19가 지속되고 있는 올해 3월 다시금 팜젠사이언스로 얼굴을 바꿔 세계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진단키트의 수출을 발판으로 새로운 영역에서의 힘을 발휘하고 있다.

그간의 행적을 보면 67년 의약품제조허가를 취득한 이후 75년 경기도 부천에 공장을 신축, 88년 화성 향남단지로 공장을 신축 이전했다. 90년 코스피 사장을 통해 기업을 투명하게 공개하기 시작했으며 99년 수출 백만불을 넘어섰다. 의약분업 직전인 2000년 봄 중앙연구소를 설립해 연구개발에도 진력을 다했다.

이후 2005년 수도정밀화학을 설립하고 한스바이오메드를 인수, 2006년 미국 메디바스사와 공동신약개발 및 합작투자를, 2016년 중국시장 개척을 위한 중국지사를 설립했다.

2017년 혈액투석제 생산라인을 증설하고 이듬해 유전자 기반 바이오기업 '커넥타젠'과 정밀의료분야 기술협약 및 지분투자에 이어 2019년 체외진단 전문기업인 '엑세스바이오'를 인수하면서 뜻밖의(?) 전기를 마련하게 됐다. 지난해 콜롬비아 20억 규모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을 비롯해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 개발을 추진하는 등 시대흐름에 발빠르게 대응해나가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순환기-소화기-CNS-항생제 등 치료제중심으로 내수위주로 사업을 영위하는데 그쳤지만 최근 사업다각화를 통해 혈액 투석제 시설 투자와 화장품-건강식품, 진단시약으로 영역을 확장하면서 성장을 꾀하고 있다.

팜젠사이언스가 공개한 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주요 제품과 그간의 실적, 연구개발, 인력조직, 관계사 등에 대해 살펴봤다.

 

◆주요 품목과 그간의 실적

처방시장에서 주목되는 품목은 혈압강하제의 '바르디핀'이 지난해 기준 62억원읠 매출을 올려 전체 매출의 6.44%의 비중을 나타냈다. 혈관치료제인 '리바틴'은 45억원으로 4.7%의 비중을 보였다.

또 이외 주요 처방약은 지난해 유비스트 기준으로 급성위염치료제 '아르시딘' 43억원, 중추신경용약 '알포레인' 34억원, '뉴로스' 24억원, '크바스틴'과 '마이코졸' 약 21억원 수준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9일 기준 허가품목은 아직 우리들제약으로 허가된 2품목 포함해 303품목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중 일반약 71품목, 전문약 232품목이었다.

 

매출 추이를 보면 1998년 14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의약분업 시작후 2001년 172억원, 2005년 279억원, 2006년 440억원으로 급증하기 시작했다. 2009년 487억원, 2010년 439억원, 2012년 303억원으로 다시 내려앉았다. 이후 2013년 390억원, 2014년 442억원, 2015년 604억원, 2016년 715억원, 2017년 799억원으로 상향곡선을 유지하며 올라섰다.

이어 2018년 891억원, 2019년 951억원, 2020년 966억원까지 오르면서 1000억원 고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올해 큰 무리가 없이 순증한다면 1000억원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조직과 연구개발과제 현황

팜젠사이언스는 경기도 소재 중앙연구소와 서울 소재 개발본부로 나뉜다. 중앙연구소는 미래지향적 플랫폼 기반 기술 개발과 신제품 및 자사제조 전환 제품개발을 하는 '제제1팀'과 개량신약과 신제품 및 일반약 개발을 하는 '제제2팀'이 있다. 개발본부는 신제품 개발 검토를 개발팀에서, 식약처 인허가는 'RA팀'이 맡고 있다.

연구개발 인력은 지난해말 기준 연구개발 부문 대표이사를 포함해 박석사급 13명 등 총 20명이 근무중이다. 핵심인력은 대화제약 개발부 이사를 지낸 김혜연 대표이사가 연구개발 총괄을 맡고 있다. 삼천당제약 연구부장이었던 정제교 연구소장, JW중외제약 연구지원실장을 지낸 서동철 개발본부장, 다산제약 수석연구원 출신 길희주 제제2팀장, 대봉LS연구소를 거친 손한일 RA팀장이 이끌고 있다.

 

연구개발에 쓰는 비용은 매출대비 1%대를 이어가고 있어 그리 높지는 않다. 2018년 14억원으로 매출 대비 1.5%의 비중을 보이다가 2019년 10억원으로 1%, 지난해 12억원으로 1.3%를 이어갔다. 전체 규모에 비해 연구개발 예산에 투입되는 비용이 매우 낮은 편이다.

현재 연구개발중인 과제는 개량신약으로 지난해 기타순환계용약인 '포도씨건조엑스정제'에 대한 제제연구에 들어갔다. 이밖에 제네릭 제제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18품목에 대한 원료합성 또는 임상1상, 제제연구를 지난해 시작했다. 신약 개발을 위한 도전보다는 업체 특성과 전략적인 선택으로 개량신약과 제네릭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임직원과 주주, 계열회사 현황

등기임원으로는 조아제약 특수사업부장이었던 박희덕 대표이사가 경영전반을 총괄하며 김혜연 대표이사가 연구개발총괄을, 종근당 개발전략 팀장이었던 류남현 이사가 부회장을, NHS대표이사를 지낸 이승열 이사가 관리를, 도매사업본부장을 지낸 윤동화 이사가 영업(도매)를 책임지고 있다. 이들의 평균보수액은 1억5299만원이었다.

미등기 임원은 신현대 전무이사와 이해두 전무이사가 영업을, 정제교 이사가 연구소, 최철희 이사가 구매를 담당하고 있다. 이들의 1인평균 급여액은 1억1687만원이었다.
직원은 지난해말 기준 260명이 근무중이며 남직원 200명, 여직원 60명이었다. 1인 평균급여액은 6203만원이었다.

주주는 에이치디투자조합이 5.91%의 지분을 보유해 최대주주였다. 에이치디투자조합의 경우 박희덕 대표이사가 5%의 지분을, 최대주주(최대출자자)는 한의상 씨가 23.7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99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5.07 06:26

당기순이익은 하향세...JW생명과학 저조 속 제넥신 고공행진 달성

대웅와 중외, 제네릭이 모두 코로나19 속에서도 선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3~6일까지 이들 제약사가 공개한 1분기 실적에서 이같은 흐름을 감지할 수 있었다. 규모 키우기와 이익을 챙기는데 성공한 것이다.

먼저 대웅과 그 종속업체 연결실적은 매출의 경우 3485억원의 기록해 전년동기 3283억원 대비 6.2% 늘었다. 영업이익도 443억원으로 전년동기 248억원 대비 78.7% 증가했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71억원으로 전년동기 156억원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대웅제약은 매출 2417억원을 달성해 전년동기 2284억원 대비 5.8% 성장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202억원으로 전년동기 13억원 대비 1514억원이 늘어 기염을 토했다. 순이익은 -233억원으로 전년동기 -12억원에 비해 더 적자가 늘었다.

JW중외도 대체로 좋은 실적을 보였다.

JW중외제약은 매출이 1406억원으로 전년동기 1284억원 대비 9.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98억원으로 전년동기 2억원 대비 5753.6% 급증했다. 순이익도 37억원으로 전년동기 -25억원에 비해 크게 늘었다.

지주사인 JW홀딩스는 253억원의 매출을 보여 전년동기 241억원 대비 4.9% 늘었다. 영업이익도 90억원으로 전년동기 80억원 대비 13.2% 성장했다. 순이익은 73억원으로 전년동기 120억원 대비 -38.9%를 기록해 저조했다.

JW생명과학은 410억원의 매출을 기록, 전년동기 450억원 대비 -8.9%였다. 역시 영업이익은 79억원으로 전년동기 91억원 대비 -13.7%, 순이익은 59억원으로 전년동기 69억원 대비 -14.5%로 모든 수치가 하향세를 나타냈다.

제넥신은 330억원의 매출을 달성해 전년동기 77억원 대비 327.9% 고공행진했다.

또 영업이익도 131억원으로 전년 -49억원에 비해 폭증, 순이익도 213억원으로 전년 -149억원을 탈출해 가파른 성장세를 그렸다.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79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3.17 07:15

[제약살이-이 회사가 살아가는 법]

◆유한양행---⑦주주와 주식시장

지난해 주식분할 후 기술수출-국산신약 허가 성과 굴직
3월 펜데믹 직후 최저주가...올해 1월 최고가 찍고 조정

 

유한양행을 바라보는 주주들은 어떨까.

최근 코로나19 속에서 유한양행도 주가인상의 효과를 봤다. 하지만 고공행진을 하는 타 제약회사에 비해 다소 '조용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게 사실.

유한양행은 과거 한동안 정체기를 맞으면서 실적이 주춤한 때가 있었다. 하지만 도입신약 등에 주목하고 신약개발에 뛰어들면서 상황은 확 달라졌다. 그만큼 성장의 고삐를 잡아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주식시장에서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단적으로 지난해 5000억원 기술수출 소식과 실적 성장, 올해 신약 허가 등 다양한 호재가 연이어 있었지만 주식시장은 요지부동인 '이상한' 그래프를 그렸다.

회사의 가치와 실적 등이 제대로 반영돼 가파른 주가 폭등보다는 '장기적으로 안정된 수익'을 얻고자 하는 주주'에게 걸맞는 이미지가 강하게 풍기는 이유다.

이번 '제약살이-이 회사가 살아가는법' 일곱번째 이야기는 유한양행의 최근 10년간 주식 변화와 특히 코로나19와 함께 최근 1년간 어떤 행보를 보였는지 살펴봤다.

주식의 전망은 한마디로 누구도 장담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다만 그 회사의 현재와 미래 성장 가능성을 보고 투자할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이를 전제로 유한양행의 전반적 흐름은 이러했다.

주가를 보면 지난 2011년 10월7일 주당 1만6573원까지 내려갔었다. 이후 2018년 11월2일 2만8839원까지 올랐다. 그동안 오르고 내림을 지속했지만 조금씩 성장을 보여온 것이다.

코로나19사태가 터진 직후 지난해 3월23일 3만5884원을 찍었다. 소폭이지만 여하튼 지속적으로 주가는 오른 셈. 증시바람이 불면서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개발, 진단기기 등 제약 관심주는 거센 바람을 타고 가파른 상승을 보였다.

유한양행도 지난 한해 상향곡선을 보인후 올초인 1월6일 8만1000원까지 주가가 치솟았다. 1년전에 비해 배이상 주가가 상승한 것이다. 이후 비소세포폐암 신약 '렉라자' 출시에도 불구하고 조정기에 들면서 지난 3월9일 5만8300원까지 내려갔다. 16일 현재 6만2900원까지 다소 회복한 추세다.

16일 기준 유한양행의 시가총액은 4조3173억원으로 코스피 상장회사 중 67위에 올랐다. 상장주식수는 6997만2959주이며 액면가는 1000원이다. 외국인보유주식은 1354만2312주로 소진율은 19.35%였다. 다만 지난해 4월 주식액면가 5000원에서 1000원으로 5분의1로 분할한 내용이 반영됐다. 분할이전 주가는 20만원대를 그려왔다.

주당수익률은 지난해 12월 기준 2709원으로 3월16일 현재 주가와 주당수익률의 차이는 23.22배이다. 주당순자산은 2만8119원이었다.

지난해 매출 1조6199억원을 넘어 올해는 1조7257억원의 실적을 올릴 것으로 증권가는 전망하고 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843억원을 기록했으며 올해는 835억원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영업이익률도 지난해 5.20%에서 올해 4.84%로 낮아지고 순이익률도 지난해 11.75%에서 6.59%로 허리를 낮추게 될 것으로 예견됐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8502

 

유한양행 주가, '헉~이게 뭐지?'...항암신약 안착에 주목 - 뉴스더보이스헬스케어

◆유한양행---⑦주주와 주식시장지난해 주식분할 후 기술수출-국산신약 허가 성과 굴직3월 펜데믹 직후 최저주가...올해 1월 최고가 찍고 조정 유한양행을 바라보는 주주들은 어떨까.최근 코로

www.newsthevoice.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