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은택 기자
  • 승인 2020.12.07 06:34

제약업계, 개선 건의에 보험당국 "검토 단계"

약가가산 재평가 쟁점(1)=기준약가 '2021년 1월' 활용

최근 열린 약가제도 관련 민관협의체에서는 약가가산 재평가와 관련해 기준약가를 '2021년 1월 약제급여목록표 상한금액'을 활용하는 데 따른 문제점이 제기됐다.

이유는 간단하다. 가산을 적용받고 있는 품목들의 2021년 1월 약가는 약가사후관리제도에 의해 상한금액이 조정된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 가격을 기준점으로 해서 가산을 종료하면 조정된 상한금액은 원래 가격(참가격, 53.55%)보다 더 낮아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6일 관련 업계와 심사평가원 관계자 등에 따르면 약가가산을 받고 있는 약제들도 약가사후관리제도에 의해 상한금액이 조정되고 있다. 실거래가조정제도, 급여확대에 따른 사전약가인하, 사용량-약가연동 협상 등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가산 종료 때 이들 사후관리제도에 의한 상한금액 조정내용을 반영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게 이번에 확인됐다.

가령 상한금액이 100원인 A라는 오리지널이 제네릭 등재와 연계해 상한금액이 조정된다고 가정하면, 원래가격(참가격)은 53.33원이지만, 첫 1년은 가산을 받아 70원으로 정해진다.

이후 이 약제가 실거래가 조정제도로 상한금액이 5원 인하됐어도 가산 종료 때는 원래가격 그대로 53.55원이 된다. 반면 사전약가인하나 PVA로 7원이 인하됐다면 가산 종료 가격은 53.55원이 아니라 48.2원이 된다. 실거래가와 달리 상한금액 인하비율 만큼 '참가격'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 심사평가원 측은 사전 약가인하나 PVA는 가산가격을 기준으로 재정영향분석을 하기 때문에 가산 종료 때 원래가격에 인하된 비율만큼 가격을 조정했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가산가격'과 원래가격의 관계가 '임시가격'과 '참가격' 성격을 띤다고 봤을 때 '임시가격'에 근거해 재정영향 분석을 하고 여기에 맞춰 상한금액을 조정한 걸 '참가격'에 그대로 적용하는 건 쉽게 납득되지 않는 대목이다. 가산을 종료한다는 건 '임시가격'을 걷어내고 '참가격'을 적용한다는 의미로 보는게 합당하기 때문이다.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450

 

  • 최은택 기자
  • 승인 2020.12.07 06:35

심평원 약평위, 급여적정성 본평가 1차 5개 성분 확정
"약제별 평가연차 선정기준 모호"...형평성 문제제기도

뇌질환개선제 콜린알포세레이트 제제에 이은 기등재의약품 급여적정성 본평가 1차 대상약제 윤곽이 드러났다.

뉴스더보이스 보도대로 약제급여목록에 등재돼 있는 일반의약품 5개 성분이다.

'콜린'만큼은 아니어도 매출액이 수백억대인 품목들이 포함돼 있어서 해당 업체에는 발등에 불이 떨어지게 됐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심사평가원 약제급여평가위원회는 지난 3일 '의약품 급여적정성 재평가 관련 평가대상 선정 및 평가 계획안'을 심의했다.

이 자리에서 임상적유용성 평가가 필요한 1차 본평가 대상 약제로 일반의약품 5개 성분이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성분은 Ginkgo biloba leaf ext.(은행엽엑스), Vitis vinifera ext.(포도씨건조엑스)/ Vitis vinifera leaf ext.(포도엽엑스), Silymarin(카르두스마리아누스엑스산), Avocado soya(아보카도-소야불검화물추출물), Bilberry fruit dried ext.(빌베리건조엑스) 등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보면 이들 성분 전체 매출액은 2천억원 규모로 추정됐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를 보세요....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449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0.12.02 06:37
  •  

10월까지 54곳 85품목 달해...2015년 7월부터 누적 366품목

생산-수입 공급중단 의약품으로 식약처에 보고된 사례가 어느 제약사가 가장 많았을까?

식약처의 생산수입 공급중단 의약품 현황에 따르면 올해 들어 10월까지 제약사 등 총 54곳에서 85품목이 공급중단을 보고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5년 7월부터 공개된 생산수입공급중단 의약품의 경우 2015년 27품목에 에어 2016년 8품목에 불과했다. 2017년 86품목으로 급증한 후 2018년 81품목, 2019년 79품목으로 비슷한 수준을 이어갔다.

올해 2개월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지난해보다 많은 공급중단이 이뤄진 점을 고려할 때 올해는 더 많은 공급중단 품목이 예상된다.

올해 현황을 보면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이 6품목으로 가장 많은 품목이 공급중단됐다. 7월 '티디퓨어주'를 시작으로 8월 '유모베이트연고'와 '유모베이트크림', 9월 '후릭소타이드에보할러250마이크로그램'과 '셀센트리정', 10월 '후릭소나제코약'이 그 대상이 됐다.

이어 역시 다국적 제약사들이 공금중단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사노피파스퇴르, 유신메디칼, 먼디파마, 애브비, 화이자, 바이엘이 3품목씩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33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