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은택 기자
  • 승인 2020.12.17 06:30
  •  

국회 인사청문회 요구자료 통해 의료현안 의견 피력
지역의사·주치의·병상총량·건보기금화 등도 거론

권덕철 보건복지부장관 후보자는 수술실 CCTV 설치와 관련, 국민의 눈높이에서 판단해 나가겠다고 했다.

의료계 현안인 지역의사제, 의대정원 확대, 공공의전원 등에 대해서는 의정협의체를 통해 구체적으로 논의하겠다고 했다.

또 원격의료에 대해서도 복지부를 중심으로 의료계 등과 협의체를 구성해 비대면진료(원격의료) 등에 대해 발전적 방안을 논의해 나가겠다고 했다.

권 후보자는 16일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요구자료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수술실 CCTV 도입=권 후보자는 "수술 과정의 불안감 해소에 대한 국민적 요구를 잘 알고 있으며, 국민의 눈높이에서 판단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이어 "지난 11월에도 이에 대한 상임위 논의가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조만간 이를 재논의할 예정으로 들었다. 공공의료기관 의무설치, 수술실 입구설치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입법 논의과정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했다.

지역의사제 도입=권 후보자는 "지역 간 의료인력 쏠림은 지역 간 의료격차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필수 의료분야 및 특정 지역의 의료인력 확충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더욱 절실하게 느낄 수 있었다.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의정협의체를 통해서 적극적으로 소통하면서 강구해 나가겠다"고 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04

  • 양민후 기자
  • 승인 2020.12.14 06:25

키트루다, 여러 항암화학요법과 시너지
티쎈트릭, 환자 치료부담 가중하지 않아
트로델비, TROP2 고발현군에 뛰어난 효과

최근 샌안토니오유방암심포지엄(SABCS 2020)에선 ‘키트루다(MSD)’, ‘티쎈트릭(로슈)’, ‘트로델비(길리어드)’ 등의 삼중음성유방암(TNBC) 임상결과가 공개됐다. 이들 치료제는 각각 병용약제의 다양성, 환자 삶의 질, 바이오마커 측면에서 주목할 점을 남긴 것으로 확인됐다.

◇ 키트루다, 여러 항암화학요법과 시너지

MSD는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의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1차 치료효과를 담은 KEYNOTE-355 임상시험(3상) 결과를 소개했다. 해당 임상시험에선 키트루다+항암화학요법(냅-파클리탁셀 또는 파클리탁셀 또는 젬시타빈+카보플라틴)과 위약+항암화학요법의 효능이 비교분석됐다.

연구결과, PD-L1 양성군(CPS≥10)에서 무진행생존기간(PFS) 중앙값은 키트루다+항암화학요법 투여군 9.7개월, 대조군 5.6개월로 집계됐다. 키트루다+항암화학요법군이 대조군에 견줘 질환진행 또는 사망 위험이 35% 감소한 결과로 읽힌다.

하위군 분석에서 키트루다 치료의 유리함은 파트너 약제와 무관하게 일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두드러진 차이를 만들어낸 파트너는 파클리탁셀이었다. 키트루다+파클리탁셀 투여군은 파클리탁셀 투여군에 견줘 질환진행 및 사망 위험이 67%(CPS≥10 이상 기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보세요....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612

 

  • 최은택 기자
  • 승인 2020.11.27 07:37
  •  

복지부, '2019 응급의료기관 평가결과' 발표

전국 응급의료기관 중 지정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사실상 낙제점인 'C등급'을 받은 기관 22곳이 과태료를 부과받게 됐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은 27일 '2019년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 같이 밝혔다.

응급의료기관 평가는 법률에 근거해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등을 대상으로 복지부장관이 매년 실시하는데, 실질적으로는 중앙응급의료센터(국립중앙의료원)가 위탁받아 수행하고 있다.

2019년에는 권역응급의료센터 35개소, 지역응급의료센터 125개소, 지역응급의료기관 239개소 등 총 399개 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2018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운영에 대한 평가가 이뤄졌다. 평가지표는 시설·인력·장비 등 법정 기준 충족 여부를 평가하는 필수영역을 포함해 안전성, 효과성, 환자중심성, 적시성, 기능성, 공공성 등 7개 영역에서 총 46개로 구성돼 있다.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24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