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8.25 06:48

상반기 기준 신풍 최저...증가 JW중외, 감소 SK바이오사이언스

국내 제약사가 경영상 '남의 돈'을 가지고 있는 규모는 얼마나 될까.

상장기업인 국내 제약사 30곳(개별)의 지난 상반기 기준 부채비율은 74.3%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말 71.0%에 비해 3.3%p 증가한 수치다. 차입을 통한 무리한 투자보다는 안정성을 유지하는 제약기업들의 성향이 그대로 반영됐다.

부채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곳은 삼일제약으로 226.3%를 기록했다. 전년기말 197.5% 대비 28.8%p를 보이면서 부채가 급증했다. 통상 부채비율이 200% 이상될 경우 부실성이 높아 건전성이 좋지 않고 200% 미만의 경우 건전성이 좋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 부채비율이 높은 제약사는 한미약품이 177.6%로 전년기말 177.3%에 비해 0.3%p 늘어났으며 일동제약은 175.4%로 전년기말 137.9%에 비해 무려 37.5%p 증가했다.

특히 JW중외제약은 157.8%의 부채비율을 보이며 전년기말 86.7% 대비 71.1%p 늘어 30개 제약사중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제일약품은 134.5%로 전년기말 135.6%에 비해 -1.1%p였으며 한독은 128.1%로 전년기말 111.1% 대비 17.0%p, 대웅제약도 109.9%로 전년기말 106.0% 대비 3.9%p 늘었다.

반면 빚이 없는 기업은 신풍제약으로 자본 대비 부채비율이 13.6%에 불과해 여타 제약사에 비해 남의 돈을 경영에 활용하지 않고 있었다. 전년기말 30.2% 대비 -16.6%p를 찍었다.

이어 유한양행이 22.3%로 전년기말과 변동이 없었으며 동화약품도 23.9%로 전년기말 22.4%와 비교해 1.5%p 증가하는데 그쳤다. 최근 최대주주 변경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휴젤도 25.4%의 부채비율을 보였다. 전년기말 28.4%에 비해 -3.0%p 였다. 유나이티드제약도 27.2%로 전년기말 27.6% 대비 -0.4%p, 동국제약은 31.6%로 전년기말 29.7% 대비 1.9%p 증가해 큰 변화가 없었다.

지난 6개월 사이 부채비율 변동이 큰 제약사는 JW중외제약을 비롯해 일동제약, 이연제약, 삼일제약이 포함됐다. 이연제약은 71.1%로 전년기말 36.5% 대비 34.6%p 늘었다.

부채가 크게 줄어든 곳은 SK바이오사이언스로 33.4%의 부채비율을 보였다. 전년기말 113.1%에서 -79.7%p 낮아진 것이다. 한국콜마도 61.4%로 전년기말 81.7% 대비 -20.3%p였으며 신풍제약이 -16.6%p, 휴온스 -11.1%p 였다.

 

Tag
#제약사 #국내 #부채비율 #신풍 #유한 #동화 #휴젤 #유나이티드 #셀트리온 #동국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삼진 #부광 #안국 #삼성바이오로직스 #광동 #휴온스 #동아에스티 #한국콜마 #종근당 #이연 #녹십자 #영진 #대원 #보령 #일양 #대웅 #한미 #제이더불유중외 #일동 #삼일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820

•엄태선 기자/ •승인 2021.08.25 06:49

식약처, 최근 의료기관 등에 사고 마약류 처리절차 안내

자칫 도난, 분실, 파손 등 사고마약류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면 법 위반으로 행정처분 대상이 될 수 있다.

이에 사고마약류 처리 절차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폐기 등을 진행해야 한다.

식약처는 최근 의료기관 등에 사고 마약류 처리절차를 안내했다. 마약류취급자 등은 마약류관리법에 따라 사고 마약류 발생 보고 및 폐기 신청을 해야 하며 마약류 폐기 사실을 보고해야 한다면서 법령 위반으로 인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사고마약류 처리 절차를 알렸다.

구체적인 처리 절차를 보면 먼저 취급자는 마약류취급자 등이 사고마약류 발생을 인지한 경우, 관할 허가관청에 5일 이내에 발생 사실 보고해야 한다. 사고 마약류 발생 보고 시, 허가관청에 사고 발생 경위 및 그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해 보고하면 된다.

이어 지자체의 경우 사고 마약류 발생 사실을 보고받은 지자체 공무원은 이를 협업시스템인 의약품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식약처장에게 이를 보고하게 된다.

또 취급자는 사고 마약류 등을 폐기하려는 경우 허가관청에 사고 마약류 등 폐기민원 신청을 해야 한다. 이에 지자체는 사고 마약류 등 폐기신청이 접수되면 담당 공무원은 입회 폐기 후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폐기 결과를 식약처장에게 보고 및 민원인에게 회신하게 된다.

이어 마약류취급자 등은 폐기처리 결과 지자체 회신 공문서의 시행일자를 기준일자로 해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폐기 보고를 절차를 밟으면 끝난다.

Tag

#식약처 #마약류 #사고 #의약품통합관리시스템 #의료기관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829

엄태선 기자/  승인 2021.08.24 07:30

대약 지역의약품안전센터 인과성평가 '상당히 확실함'

항응고제인 '리바록사반'을 복용한 60대 환자가 혈뇨 이상반응이 발현돼 주목된다.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이하 지역센터)에 따르면 67세 남성은 지난해 9월 뇌졸중 및 전신 색전증의 위험 감소를 위해 투여한 리바록사반20mg을 복용한 이후 혈뇨 이상사례를 경험했다. 해당 남성은 전립선비대증 수술을 받은 후 심방조동으로 인해 리바록사반 20mg을 복용한 것이다.

이와 관련 지역센터는 '상당히 확실함'으로 인과성을 평가했다. 약물투여와 이상사례 발생 간에 시간적 연관성이 있고 질병이나 다른 약물에 의한 것으로 보이지 않으며 약물 복용을 중단하거나 용량을 감량했을 때 증상이 호전되는 임상적 변화가 있다고 봤다.

지역센터는 리바록사반 복용 후 흔하게 비뇨생식기계 출혈인 혈뇨나 월경과다가 나타날 수 있으며 하지의 주요 정형외과 수술의 경우 지혈이 확인되고 나서 수술 후 6~7시간 내 약물을 시작할 것을 권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리바록사반의 경우 복용 후 흔한 이상반응은 빈혈, 안구 출혈, 치은출혈, 위장관계 출혈, 치료 후 출혈과 비뇨생식기계 출혈, 비출혈, 객혈, 반상출혈, 피부 및 피하출혈 등 출혈 경향 증가에 의한 이상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다. 발열, 말초부종, 어지러움, 두통 등의 이상반응 또한 흔하게 나타날 수 있다.

지역센터는 다만 환자의 혈뇨는 리바록사반이 아닌 절립선 비대증 자체에 의한 증상일 수 있으며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정보와 전문가 의견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한편 리바록사반은 23일 기준 '국제리바록사반정' 등 210품목이 허가돼 있다.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94


Tag
#리바록사반 #이상사례 #지역의약품안전센터 #대한약사회 #이상반응 #혈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