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은택 기자
  • 승인 2021.04.23 06:46

복지부, 5월1일자 고시 추진...10월까지 6개월간 급여 유지

아주약품의 효자품목인 아주베셀듀.에프연질캡슐(설로덱시드)이 약제급여목록에서 삭제된다. 1995년 4월15일 시판허가를 받아 건강보험을 적용받은 지 25년만이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5월1일 약제급여목록에서 삭제되는 품목은 총 203개다.

삭제사유와 품목수는 허가취소 1개, 자진취하 47개, 유효기간 만료 18개, 수출용 전환 1개, 양도·양수 9개, 포장단위 삭제 4개, 비급여 조정신청 수용 5개, 미청구 의약품 삭제 118개 등이다.

혈전 위험성이 있는 혈관질환에 쓰는 아주베셀듀.에프연질캡슐은 이중 자진취하 사유에 해당한다. 앞서 식약처는 아주베셀듀.에프연질캡슐에 대해 지난해 8월 임상재평가 명령을 내렸고, 같은 해 12월에는 복지부가 임상재평가 기간 동안의 약품비 환수계약을 체결하도록 건보공단에 협상명령을 전달했다.

이후 아주약품 측은 건보공단과 약품비 환수 협상을 진행했는데, 결국 품목을 포기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허가취하 날짜는 3월15일로 국내 허가 25년만에 퇴장하게 됐다.

아주베셀듀.에프연질캡슐은 5월1일부로 약제급여목록에서는 삭제되지만, 재고 소진 등을 위해 10월까지 6개월간 건강보험은 계속 적용받는다.

한편 이번에 자진취하로 급여목록에서 삭제되는 품목에는 한국얀센 리스페달정 4개 함량 제품과 저니스타아이알정, 한국비엠에스제약의 순베프라캡슐과 다클린자정 등 오리지널 제품들도 포함돼 있다.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4.23 06:48

대웅 '오메크린'-대웅바이오 '안플탑'...이연 '아코신' 공급차질
브라코이미징, 조영제 '이오파미로'-'프로핸스' 전 제형도 대열

의약품 공급가 인상부터 원료수급 문제 등으로 일선 제약사들이 제품을 공급하지 못해 품절사태가 지속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먼저 한국호넥스가 공급하고 있는 변비약 '마그오'의 가격을 인상시켰다.

한국호넥스는 최근 지난 3월 1일부터 '마그오250mg'을 캡슐당 80원으로 인상해 200캡슐의 경우 1만6000원, 500캡슐은 4만원으로 올랐다. 또 '마그오500mg'은 캡슐당 90원으로 200캡슐은 1만8000원, 500캡슐은 4만5000원이 됐다.

호넥스는 원자재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해 불가피하게 제품 가격을 인상하게 됐다고 이해를 구했다.

국내외 제약사들의 의약품 공급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 품절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것.

대웅제약은 옴치료제 '오메크린크림'이 코로나19 장기화로 원료의약품 수급 차질로 품절됐으며 오는 5월6일 입고돼 7일 출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웅바이오도 원료 수급이 원활하지 않아 만성 동맥폐색증에 의한 궤양치료제 '안플탑서방정'이 오는 5월 2째주까지 품절이 예고됐다.

아울러 이연제약은 항생제 '아코신주'100mg과 150mg이 원료 공급사정으로 품절상태라고 공지했으며 재공급시기는 미정이다.

특히 브라코이미징코리아는 이태리본사 생산일정의 조정으로 향후 3개월 가량 품절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품절품목은 조영제 '이오파미로'와 '프로핸스'의 전 제형이다.
품절예상시기는 오는 4월29일부터 오는 7월28일까지이며 재공급은 7월29일이다.

에이블팜스리테일은 양성 전립샘비대증에 따른 배뇨장애치료제 '팜스로신서방캡슐0.2mg'이 QC과정에서 제품 하자가 발생해 재생산을 진행, 오는 5월 중순 재공급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9199

  • 주경준 기자
  • 승인 2021.04.23 06:49

다발성 골수종 레날리도마이드ㆍ덱사메타손 병용후 단독 전환

다발성 골수종 환자 표준치료법 중 하나인 레날리도마이드와 덱사메타손 병용요법에서 일정 투약주기 이후 덱사메타손을 빼고 항암제 용량도 낮췄는데 효과는 비슷했고 부작용은 줄었다.

항암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연구가 증가하는 가운데 이탈리아의 토리노 대학 혈액학 연구진은 암환자가 항암제와 스테로이드 제제를 덜 복용해도 괜찮은 지를 살폈다. 결론은 병용요법을 단독요법으로 바꾸고 용량도 낮췄지만 치료효과는 비슷했고 약을 덜 복용한 만큼 부작용은 당연히 적었다. 임상 내용은 미혈액학회 저널 'Blood'와 펍메드에 요약내용이 게제됐다.

임상은 레날리도마이드ㆍ덱사메타손 병용요법을 28일을 1주기로 지속 반복하는 그룹과 병용용법을 9주기까지만(약 9개월) 한 이후 덱사메타손을 제외하고 레날리도마이드의 용량을 줄여 투약한 그룹으로 나눠 비교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병용요법 연속군은 매일 레날리도마이드 25mg를 복용하고 덱사메타손은 주 1회 40mg씩 4주 투약하는 패턴으로 28일이 1주기다. 병용후 단독군은 9주기만 병용요법을 진행한 이후에는 레날리도마이드만 용량을 10mg로 줄여서 복용토록 했다.

임상 참여 환자는 199명으로 평균연령은 76세로 101명은 병용후 단독 요법을, 98명은 병용연속요법을 받았다.

연구진이 노인 환자에게 용량을 줄이는 것이 실현 가능하고 안전한지를 평가해 본 결과, 중앙 추적기간은 37개월(27-45개월)로 무사건 생존기간(EFS)은 병용-단독 전환군이 10.4개월, 병용연속군이 6.9개월이었다.

무진행생존기간(PFS)은 병용-단독 전환군이 20.2개월, 연속군 18.3개월. 전체반응률(OS)는 78%대 68%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수치는 병용-단독 전환군이 더 좋은 결과를 보여주며 비슷한 치료효과를 보였다.

혈액학적 또는 비혈액학적 부작용도 비슷했다. 다만 스테로이드 제제 투약을 멈춘 만큼 중치신경계와 체질적 이상반응은 병용-단독전환군이 더 낮게 나타났다.

또 병용연속군에서 부작용으로 레날리도마이드를 중단하는 비율이 30%로 단독 전환군 24%에 비해 높고, 용량을 줄여야 했던 비율도 각각 62%대 45%로 차이를 보였다.

기존 치료법에서 일정기간 병용후 스테로이드 투약을 중단하고 항암제 용량을 낮추는게 가능하다는게 연구진이 결론이다.

좀 더 좋은 치료효과를 기대하며 3제 이상의 병용 투약 등의 연구에 집중하는 가운데 너무 많은 투약이 이뤄지는 것은 아닌지 살 피교 용량을 줄여도 되지는를 검토해보는 의료진의 움직임도 이뤄지고 있다.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92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