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민후 기자
  • 승인 2020.12.29 06:25
  •  

입랜스-비짐프로 급여
관전포인트는 항암제 라인업 강화와 신약의 치료문턱

다사다난했던 2020년이 달력 한 장만을 남겨놓고 있다. 다국적제약사 한국지사들은 한 해를 어떻게 보냈을까. 제약사별로 발자취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신약 도입이 활발했던 회사가 있었고, 급여와 관련해 진전을 이룬 회사도 있었다. 각 제약사의 발자국에선 새해 출발점이 엿보이기도 했다. 주요 5개사의 2020년을 살펴본다.

2020년 한국화이자제약은 ‘입랜스’, ‘비짐프로’와 같은 항암제들의 접근성을 개선하는 성과를 올렸다. 포트폴리오에는 ‘탈제나’, ‘빈다맥스’, ‘크레셈바’, ‘소마버트’ 등의 신약을 추가했다.

2021년에도 항암제 라인업 강화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도입한 신약들의 치료문턱 개선 여부도 지켜볼 포인트다. 글로벌 본사의 행보 역시 코로나19 백신 등과 관련해 큰 관심을 받을 전망이다.

◇ 입랜스-비짐프로 접근성 개선

CDK4/6억제제 입랜스는 풀베스트란트 병용요법을 통해 HR+/HER2- 진행성∙전이성 유방암 치료에 급여를 확대적용 받았다. 대상은 내분비요법 후 질환이 진행된 폐경전후 환자군이다. 해당 환자군을 상대로 입랜스+풀베스트란트는 위약+풀베스트란트 대비 질환 진행 위험을 줄이고, 항암화학요법 도입 시기를 연장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같은 시기 또 다른......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보세요...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919

 

 

 

  • 양민후 기자
  • 승인 2020.12.30 06:24
  •  

KdD 전략 국내 도입 예정…레날리도마이드 불응 환자 대안으로 주목

다발골수종 치료제 ‘키프롤리스(암젠코리아)’는 국내에서 덱사메타손 병용요법 또는 레날리도마이드+덱사메타손 병용전략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 한 가지 전략이 더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암젠코리아는 ‘키프롤리스+덱사메타손+다잘렉스(한국얀센)’ 병용요법 도입 작업을 진행 중이다.

진척 상황 등에 대해선 알려지지 않았다. 제약사측은 내년 중 해당 병용요법을 국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작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키프롤리스+덱사메타손+다잘렉스(KdD) 전략은 올해 8월 미국에서 허가됐다. 근거는 CANDOR 임상시험(3상) 등의 결과가 제공했다. CANDOR은 재발성 다발골수종 환자 46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환자들은 볼테조밉·레날리도마이드 등을 통해 1~3차 치료를 경험한 상태였다. 연구진은 환자들에게 KdD 또는 키프롤리스+덱사메타손(Kd)을 투여하며 경과를 지켜봤다. 무진행생존기간(PFS), 객관적반응률(ORR) 등은 주요지표로 측정됐다.

그 결과, 무진행생존기간은 KdD 투여군에서 중앙값에 도달하지 않았고, Kd군에서 15.8개월로 집계됐다. 이는 KdD군이 대조군에 견줘 질환 진행 및 사망 위험이 37% 줄어든 것으로 읽힌다.

객관적반응률은 KdD군 84.3%(완전반응:28.5%), Kd군 74.7%(10.4%)였다. 12개월 시점 미세잔존질환 음성(MRD-negative) 비율은 두 군에서 각각 12.5%, 1.3%로 조사됐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943

 

 

  • 주경준 기자
  • 승인 2020.12.30 06:26
  •  

고려대의료원 P-HIS부터 의원급 EMR까지...이지케어텍도 활용

'네이버 클라우드'가 병의원 의료정보 시장에서 언급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닥터앤서와 고려대의료원 P-HIS 등 굵직한 국책사업부터 의원용 EMR시장까지 병의원시장 전체를 아우르는 모양세다.

30일 뉴스더보이스가 확인한 결과, 과학기술정통부의 국책사업인 닥터앤서에 이어 오는 3월부터 본격 가동 예정인 고려대의료원의 첨단(차세대) 병원정보시스템 P-HIS(Post, Personalized, Precision-Hospotal Information System)에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이 활용된다.

대한의사협회와 의원급 의료기관용 클라우드 기반 EMR 서비스사업에서 협업하는 세나클시스템은 오늘 1월중 제품을 출시할 예정으로 네이버 클라우드가 기반이다.

올해 3월부터 서비스를 개시한 이지케어텍의 중소병원용 클라우드 병원정보시스템 '엣지앤넥스트' 역시 네이버 클라우드가 활용되고 있다.

개별 구축형 HIS와 EMR 시장에 본격적인 클라우드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상급종합병원부터 중소형병원과 의원급의료기관 까지 '네이버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빈도가 매우 높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97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