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윤희 기자/| 승인 2021.09.02 06:55

"집행정지 문제 조속 해결 통해 안정적 조제 환경돼야"

정부와 제약사간 약가인하 분쟁에 또다른 피해자였던 약사회가 그동안의 침묵을 깨고 분쟁 해결을 위한 정부의 조속한 해결 방안 마련을 촉구하고 나서 주목된다.

그동안 약사회는 정부와 제약사간 지속되는 약가 소송으로 약국의 반품, 정산에 따른 행정부담, 사후관리 등에 따른 고충을 떠 안고 있었다.

약사회는 2일 낸 성명을 통해 "정부-제약사간 약가인하 분쟁으로 인해 약국에 반품·정산 행정부담, 경제적 손실 및 사후관리 부담 증가 등의 피해에 대해 복지부가 조속히 해결방안을 마련해 달라"는 입장을 밝혔다.

약사회는 "이번 가산 재평가로 인한 대규모 약가인하 문제는 일선 약국을 반품과 차액정산 업무로 내몰고 정상적인 약국업무를 할 수 없도록 만들었다"면서 "시행일에 임박하거나 시행일 전후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법원의 약가인하 집행정지와 그에 따른 추가적인 후속 행정조치를 약국에서는 이중 삼중으로 반복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약가 업데이트 반영 지연 등 정확한 약제비용 산정의 어려움으로 이미 일선 약국에서 겪는 혼선과 피로도는 임계치를 넘어섰다"면서 "정부와 제약사간 분쟁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현실은 약국의 행정적 부담에 그치지 않고 이후 구입약가 산정 등의 사후관리 위험 부담으로 이어져 정확하고 올바른 청구를 저해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약사회는 약국 현황을 소개하며 약가인하 정책에 따른 약국의 행정부담과 피해, 의약품 사입 등 효율적인 의약품 재고관리를 저해하는 상황 등을 들며 재정적 손실에 대한 고충도 토로했다.

그러면서 "일선 약국의 혼란은 환자에게 정확한 조제·투약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본연의 업무에도 막대한 지장을 초래한다"면서 "약국의 안정적인 조제 환경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우려를 금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약사회는 "보험약가제도 개선의지 없이 오롯이 약국에 모든 책임과 부담을 전가하는 상황에 분노하하지 않을 수 없다"며 "정부 차원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번 약사회의 호소에 정부가 어떤 대응을 보일 지 주목된다.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22011

엄태선 기자/ 승인 2021.09.01 07:08

녹십자 17%, HK이노엔 7%, 동국제약 6%, 휴온스 5%, 제일약품 4% 순
남직원 평균 1009명으로 증가율 4.2% 보여...여직원 459명으로 10.1%

코로나19 속 국내 제약회사들의 근무중인 직원수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국내 제약사 상위 22곳의 직원수 현황에 따르면 이들 제약사의 지난 상반기말 기준 직원수는 평균 1468명이었으며 이는 전년동기 1386명 대비 82명이 증가했다. 이는 6%가 증가한 수치다.

성별로는 남직원의 경우 평균 1009명으로 전년동기 968명 대비 41명이 늘었다. 4.2% 증가율을 기록했다. 여직원은 459명으로 전년동기 417명 대비 42명이 늘어 10.1%의 증가율을 나타내 남직원에 비해 컸다.

증가율로 보면 SK바이오사이언스가 113%나 증가해 최고를 기록했다. 이어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9%, 녹십자 17%, HK이노엔 7%, 동국 6%, 휴온스 5%, 제일약품 4%, 동아에스티 3% 순이었다.

반면 직원이 줄어든 곳도 있었다. 유나이티드제약이 -7%, 한미약품과 JW중외제약 -4%, 보령제약 -3% 순이었다.

직원수가 변화가 없는 곳은 광동제약과 한독이었다. 증감률이 1%인 곳은 종근당과 셀트리온, 유한양행, 동화약품이 -1%는 일동제약과 삼진제약이었다.

 

한편 가장 많은 직원을 거느리고 있는 곳은 삼성바이오로직스로 3515명이었다. 녹십자가 2443명, 종근당 2317명, 한미약품 2273명, 셀트리온 2152명으로 2000명대였다.

이어 유한양행 1853명, HK이노엔 1627명, 동아에스티 1614명, 대웅제약 1461명, 일동제약 1403명, 보령제약 1336명. JW중외제약 1146명, 동국제약 1099명, 광동제약 1030명, SK바이오사이언스 1027명, 대원제약 1010명 순이었다.

남직원이 많은 곳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165명, 녹십자 1734명, 한미약품 1621명, 종근당 1619명, 유한양행 1402명 순이었다. 여직원의 경우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350명, 셀트리온 892명, 녹십자 709명, 종근당 698명, 한미약품 658명 순이었다.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76

 엄태선 기자/  승인 2021.09.01 07:01

[제약살이=이 회사가 살아가는 법]

◆종근당---⑦주식시장과 주주

2015년 주당 4만4869만원서 지난해 27만3774원으로 4배이상 성장
코로나19치료제 '나파벨탄' 개발과정에 오르내림 지속...현재진행형

지난해말 종근당에 뜻밖의 일이 벌어졌다. 바로 역대 최고치의 주가를 올리면서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이는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주가가치 상향에 파란불이 켜졌다. 지난해 12월24일 무려 1주당 27만3774원을 기록하면서 최고점을 찍었다.

코로나19가 본격화되기 전인 지난해 3월 팬데믹이 선언되면서 무려 1주당 5만8093원으로 최저점을 기록한지 9개월만에 4배이상 주가가 오르며 기염을 토했다. 하지만 그뿐. 그 이후 조정기간을 가지면서 지속적인 주가하락을 보이며 8월31일을 현재, 12만9500원으로 내려앉았다. 하지만 이같은 주가도 팬데믹 이전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높은 가치를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1주당 8~10만원 안팎을 오르내리며 큰 변화가 없이 꾸준했다. 지난 10년간을 볼때 2015년 1월23일 1주당 4만4869만원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오른 주식은 2016년과 2018년에 한때 10만원이상을 달리기도 했다.

대형품목인 콜린제제 재평가에 따른 악재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치료제인 '나파벨탄'과 성장가도인 매출 등 좋은 실적의 영향으로 주가는 지난해말 최고점을 찍게 됐다. 이후 '나파벨탄'이 국내 임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내놓지 못하면서 주식을 내리막을 걷지시작했다. 거품처럼 빠지기 시작한 주가는 지난 8월23일 11만7000원까지 내려앉았지만 그후 다시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시가총액 1조4740억원...외국인소진율 7.75%, 주당순이익 8020원 달성
최대주주, 지주사 종근당홀딩스 24.42%...지주사 최대주주 이장한 회장

이같은 주가흐름 속에 31일 기준 시가총액은 1조 4740억원이며 상장주식수는 1142만6099주에 달한다. 액면가는 2500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50배이상 가치를 키웠다. 외국인 보유주식수는 88만5529주로 외국인소진율은 7.75%이었다.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주당순이익(EPS)은 최근 매년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2018년 3711원에서 2019년 4716원, 지난해말에는 8020원으로 급증했다.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 다소 낮아진 6564원이 예상된다는 게 여러 증권사의 전망이다. 지난 2분기 2097원을 기록했다.

주가수익비율(PER, Price Earning Ratio)는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2018년 24.99배, 2019년 19.62배, 2020년 28.24배로 역시 지난해 최고점을 찍었다. 올해는 18.66배를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나 2분기 18.39배를 나타냈다.

주당 순자산의 비율을 나타내는 주가순자산가치(BPS)은 2018년 3만7714원에서 2019년 4만1669원, 2020년 4만8589원으로 최근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 2분기에는 5만343원이었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018년 2.46배, 2019년 2.22배, 지난해 4.66배로 높아졌다. 올해 2분기에는 2.72배였다.

이에 따라 배당금은 2018년 주당 778원, 2019년 817원, 2020년 953원이었으며 올해는 958원으로 예상됐다. 시가배당률은 2018년 0.84%, 2019년 0.88%, 2020년 0.42%였다.

종근당의 올해 매출은 얼마나 될까. 증권가는 지난해 1조3030원에서 1조3522원으로 소폭 상승한 반면 영업이익은 지난해 1239억원에서 올해 1033억원,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904억원에서 747억원으로 다소 주춤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럼 종근당의 주식은 누가 보유하고 있을까.

종근당의 최대주주는 지주회사인 종근당홀딩스이다. 전체 주식의 24.42%인 279만234주를 보유하고 있다. 이장한 회장이 108만4988주로 9.50%, 이주원 1.47%, 이주경 1.17%, 이주아 1.17%, 이복환 0.05%를 지니고 있다. 종근당홀딩스는 이장한 회장이 33.73%를 보유하면서 최대주주였다.

이외 국민연금이 지난 4월5일 기준 9.35%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다. 기업의 사회환원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고촌재단이 6월말 기준 5.0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소액주주는 전체의 44.8%를 보유하고 있었다.

종근당은 코로나19와 맞물려 여타 제약사가 개발중인 코로나19치료제 개발에 뛰어든 기업에 포함돼 있다. 그에 따른 주가가 한대 요동치기도 했지만 여전히 높은 주가가치를 보이고 있다. 연말 영업실적과 함께 지나 4월 3상 시험을 승인받아 환자를 모집중인 코로나19치료제 '나파벨탄주'의 성공적인 결과물을 내놓는 것에 따라 주식시장에서의 종근당의 입지는 달라질 전망이다. 어떤 결론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Tag
#종근당 #주주 #주식시장 #나파벨탄 #코로나19치료제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6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