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경준 기자
  • 승인 2021.01.12 06:39
  •  

부동산업계, 처방조제 '배신'에 일반약 매출자료 중요성 높아져

약국 양도양수 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처방조제 건수에 대한 믿음에 균열이 생겨 매수자가 선듯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11일 뉴스더보이스 취재결과, 약국 부동산업계는 지난해 신규개국 약국이 전년대비 30% 감소한 주된 원인으로 양도양수 시장이 위축된데 따른 현상으로 진단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처방조제건수가 급감하면서 '처방전 100건당 또는 1억원 이상' 등 공식 자체가 무너지면서 매도자와 매수자간의 눈높이가 달라졌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신규입점 시장보다 양도양수계약이 더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당연히 매도하는 입장에서는 코로나19 회복기를 기준으로 삼고 매입자는 처방조제 최저점을 눈여겨 볼 수 밖에 없어서 거래가 원활하기 어려운 구도다. 또 일반의약품 매약 자료가 양도양수과정에서 중요성이 더 커졌다"고 진단했다.

이어 "처방조제에 대한 진폭이 크다보니 매수자는 매약 부분에 신경을 더쓰게 된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된 9~10월부터는 매약의 한계가 있는 층약국 신규개설과 양도양수 시장의 실제 거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고있다"고 말했다.

양도양수보다 신규개설 쪽으로 약국개국시장의 흐름이 변화한 건 낮아진 임대료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규개국과 폐업이 함께 감소하면서도 개원증가율이 2.45%로 분업 20년 이래 가장 높은 추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20년 평균 증가율은 0.7%였다.

부동산 관계자는 "약국은 장기계약을 조건으로 임대료를 크게 낮출 수 있도록 조율이 가능하다. 약국 입점을 선호하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반면 "워낙 불확실한 상황이라 신규개설하는 입장에서는 단기계약을 선호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처방전 수용이 가능하고 일반의약품 매약이 가능한 장소에 대한 문의가 적지 않다. 다만 선듯 찾아오시는 분은 거의 없다. 아직은 관망세가 크다고 보면된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7174

 

한미, 유전자백신 대량생산 등 코로나 대응 로드맵 제시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1.12 08:22

연내 신약 롤론티스·오락솔 미국 FDA 시판허가 기대
월 1회 투여 단장증후군 치료제 등 희귀약 개발 매진
코로나19 극복 솔루션 등 글로벌 R&D 전략 공개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39회 JP 모건 컨퍼런스에서 권세창 사장이 한미약품의 2021년 비전과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한미약품이 유전자백신 대량생산 등 코로나 대응 로드맵을 제시했다. 아울러 연내 신약 '롤론티스'와 '오락솔'이 미국에서 시판허가를 기대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2021년 한 해를 이끌어 갈 사업 방향을 온라인 개최 중인 제39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발표했다.

한미약품이 발표한 전략은 평택 바이오플랜트를 중심으로 DNA, mRNA 백신 생산, 진단키트와 치료제 개발 등을 통해 코로나 팬데믹 종식에 기여할 수 있다는 비전이 포함됐다.

평택 바이오플랜트는 대장균 발효 정제 의약품 생산 설비를 통해 코로나 plasmid DNA 백신, mRNA 백신, mRNA 합성에 필요한 효소 생산이 가능한 GMP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계열사 한미정밀화학은 뉴클레오타이드는 물론, 합성원료의약품(APIs), 중간체(intermediate), 펩타이드, 리피드(mRNA 백신의 제제 원료) 등 다양한 원료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다는 내용도 소개했다.

한미약품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부터 진단 그리고 치료에 이르는 전 주기 라인업을 개발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람다카라기닌 주성분의 '한미 콜드마스크 비강스프레이'를 최근 출시한데 이어 코로나와 독감을 동시 진단할 수 있는 키트 발매도 준비하고 있다.

또 PIKfyve 억제제 신약합성화학물(NCEs)과 티모신(Thymosin α1) 호르몬 을 이용한 코로나 치료제의 전임상 후보물질도 도출했다.

한미약품 권세창 사장은 "한미약품은 mRNA백신과 DNA백신 위수탁생산(CMO/CDMO)이 가능한 시설 기반의 다양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며 "글로벌 팬데믹 위기 극복에 기여하기 위해 여러 회사와의 협력 가능성을 활짝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도 주력 제품 매출 상승을 일군 한미약품의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을 강조하면서 주요 R&D 업데이트와 기대되는 연구성과 등을 종합적으로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현재 한미약품의 580명 이상 전문 R&D 인력은 대사성질환 8개, 항암 12개, 희귀질환 5개, 기타 질환 3개 등 총 28개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NASH(비알코올성지방간염) 치료 혁신신약 등 염증-섬유화 치료제, 대사성질환 및 항암과 희귀질환 치료제 분야의 혁신을 토대로 글로벌 R&D 성과를 창출할 계획이다.

특히 두 개의 신약은 올해 미국 FDA의 시판허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스펙트럼에 라이선스 아웃된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와 아테넥스에 라이선스 아웃된 전이성유방암 치료제 '오락솔'은 각각 FDA의 시판허가(BLA)와 우선심사(Priority Review)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7217

IRB없는 병의원 아바스틴 투여, '산 넘고 물건너' 간다

  • 최은택 기자
  • 승인 2021.01.12 06:41

심사평가원, 비급여 사용 기관 대상 현황 파악 중
"분주 감염우려로 점검해야 할 요소 많아"

보험당국이 한국로슈의 아바스틴주(베바시주맙) 안과의원 확대사용과 관련, 비급여로 이미 사용 중인 병원을 상대로 실태파악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분주감염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실제 투여상황을 꼼꼼히 점검하고 가자는 취지로 보인다.

심사평가원 관계자는 뉴스더보이스와 통화에서 이 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심사평가원은 지난해 이른바 아바스틴 협의체를 열고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 기관윤리심의위원회)가 없는 의원급 의료기관에서도 아바스틴주를 안과질환에 투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해당 협의체에는 식약처, 질병관리청, 전문학회, 환자단체까지 참여했었는데 한 차례 회의로는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72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