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은택 기자/ 승인 2021.07.30 07:07

정부공직자윤리위, 신규 임용자 재산등록사항 공개
강동묵 22억, 이진용 41억, 정창현 20억

이태한(행시31) 청와대 사회수석비서관이 11억원 상당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신고했다. 기모란 청와대 방역기획관은 26억원이 넘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9일 이 같이 재산공개 대상인 신규 임용 고위공직자의 재산등록사항을 공개했다.

보건분야 관련 고위공직자는 이태한 대통령비서실 사회수석비서관, 기모란 대통령비서실 방역기획관, 강동묵 부산대 의무부총장, 이진용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정창현 한국한의약진흥원 원장 등이 포함됐다.

이태한 사회수석비서관은 본인과 가족 재산으로 10억9190만7천원을 신고했다. 부친으로부터 상속받은 다수의 토지(4억2578만8천원), 단독주택과 아파트, 복합건물 등 본인과 배우자 명의 건물(3억9749만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 사회수석비서관은 행시31회 출신으로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장, 건강보험공단 상임감사 등을 지냈다.

기모란 방역기획관은 26억2927만1천원으로 신고했다. 재산 대부분은 토지(4억417만8천원)과 건물(17억2980만6천원)이었다. 기 방역기획관은 한양대의대 출신으로 예방의학 전문가다. 청와대에 가기 전에는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 암관리학교수로 일했다.

강동묵 의무부총장은 22억1883만6천원을 신고했다. 본인과 배우자 소유 아파트 등 건물이 19억9740만원으로 재산의 상당수를 차지한다. 예금도 4억7073만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신고했다.

경희대 한의대 교수출신인 이진용 원장은 41억4576만5천원을 신고했다. 토지 15억3783만8천원, 건물 11억7700만원, 예금 5억4071만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역시 경희대 한의대 교수출신인 정창현 원장은 20억4629만2천원을 보유재산으로 신고했다. 이중 절반이 조금 넘는 11억1300만원이 본인과 배우자 공동명의의 아파트다.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317

엄태선 기자/  승인 2021.07.30 07:08

매출액은 모두 순증세...영업익 일동-한독, 순익 한독 역성장

국내 상위제약사들의 2분기 실적의 명암이 갈렸다.

유한양행과 일동제약, 한독은 주춤한 가운데 한미약품과 대웅제약은 날았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29일 국내 매출 상위제약 5곳의 2분기 실적이 전격 공개됐다.

먼저 유한양행은 4238억원의 매출액을 달성하며 전년동기 4086억원 대비 3.7%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284억원으로 전년동기 404억원 대비 -29.7%로 주저앉았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256억원을 찍으며 전년동기 241억원 대비 6.2% 증가했다.

한미약품은 2793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동기 2434억원 대비 14.7%로 빠른 성장을 나타냈다. 이익도 기염을 토했다. 영업이익은 159억원으로 전년동기 106억원 대비 49.6% 폭증했다. 당기순이익도 83억원으로 전년동기 58억원 대비 43.1% 증가해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저조했던 성정을 이어왔던 대웅제약도 기운을 차리는 분위기를 연출했다. 2731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년동기 2260억원 대비 20.8%의 성장을 보였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267억원, 145억원으로 흑자전환해 깊은 늪에서 탈출했다.

일동제약과 한독은 그리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일동제약은 1414억원의 매출을 그려 전년동기 1373억원 대비 3%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87억원으로 전년동기 72억원에서 적자전환됐다. 반면 순이이근 114억원으로 전년동기 60억원 대비 89.4% 성장하면서 상향곡선을 그렸다.

한독은 1214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동기 1210억원 대비 0.3% 성장하는데 그쳤다. 영업이익은 66억원으로 전년동기 80억원 대비 14억원이 빠지면서 -18.2%를 기록했다. 순이익도 53억원으로 전년동기 61억원 대비 8억원이 줄어 전년동기 대비 -12.7%였다.

Tag
#유한양행 #한미약품 #대웅제약 #일동제약 #한독 #2분기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309

엄태선 기자/  승인 2021.07.29 07:13

취하 2건...지급 사망일시보상금 4건, 장례비 4건, 장애일시 4건, 진료비 67건

지난 상반기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를 받기 위해 환자 등의 신청건수는 총 65건이었으며 심의위원회에 89건이 상정됐다.

이중 지급된 건수는 79건, 미지급은 10건, 취하는 2건이었다.

식약처와 의약품안전관리원이 공개한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2021년 상반기 접수 침 심의 현황'에서 이와 같았다.

상반기에 접수된 건수중 사망일시보상금은 5건, 장례비 5건, 장애일시보상금은 2건, 진료비가 53건이었다.

심의위원회 상정은 사망일시보상금 5건, 장례비 5건, 장애일시보상금 4건, 진료비 75건이었다.

이중 사망일시보상금 지급 4건, 미지급 1건이었으며 장례비는 4건 지급, 미지급 1건이었다.

장애일시보상금은 지급 4건, 진료비는 67건이 지급됐고 8건이 미지급됐다. 취하는 진료비 2건이었다.

지난 2014년 12월19일부터 지난 상반기까지 누적 현황을 보면 지급 581건으로 이중 상망일시보상금은 71건, 장례비 71건, 장애일시보상금 22건, 진료비 417건이었다.

미지급은 115건으로 사망일시보상금은 33건, 장례비 25건, 장애일시보상금 7건, 진료비 50건이었다.

한편 심의사례를 보면 사망일시보상금 및 장례비의 경우 알로푸리놀의 독성표피괴사용해와 이오헥솔의 아나필락시스성 쇼크 등이 지급됐다.

장애일시보상금의 경우 아세트아미노펜,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칼륨의 독성표피괴사용해에 의한 눈의 장애, 에탐부톨염산염의 독성 시신경 병증에 의한 눈의 장애 등이 지급됐다.

진료비는 라모트리진에 의한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이나 클로피도그렐황산염의 드레스 증후군, 폐렴구균 씨알엠 단백접합백신의 연조직염, 약물발진, 답손의 드레스 증후군, 알벤다졸의 약물-유발 간손상, 바레니클린타르타르산염의 의도적 자해 등이 지급됐다.


Tag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상반기 #식약처 #의약품안전관리원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27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