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준 기자/ 승인 2021.07.27 06:52

건대 연구진, 클래리트로마이신 내성시 고용량 연구 필요

기존 헬리코박터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케이캡(테고프라잔) 3제 요법에 비스무트를 추가시, 제균율이 88%까지 상승했다.

건국대 의대 이선영 내과학ㆍ병리학교실 연구진이 박멸 경험이 없는 H.파일로리 감염환자를 대상으로 제균요법의 효능을 살핀 결과, 케이캡, 아목시실린, 클래리트로마이신 3제 요법에 비스무트 구연산 칼륨 제제를 추가 투여했을 때 프로토콜 분석에서 88.3%의 제균효과를 나타냈다.

연구진은 2020년 1월부터 11월까지 연속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캐이캡의 승인 이전에는 7일 처방 란소프라졸 4제요법을, 승인이후에는 케이캡 4제요법을 투약, 환자들의 제균비율을 분석했다.

총 381명 환자의 제균율은 케이캡 치료군은 88.3%(151/171), 란소프라졸 82.8%(140/169)며 치료의향분석(ITT) 분석에서는 케이캡 78.8%(152/193), 란소프라졸 74.5%(140/188)의 제균율을 보여줬다.

기존 허가 신청 기반이 된 임상에서 케이캡 3제요법은 소화성 궤양 및 만성 위축성 위염 환자군에서 69.33%, 저등급 위 MALT 림프종, EMR/ESD 치료후 완전 절제된 조기 위암 환자 및 만성 위축성 위염환자에서는 71.43%였다.

연구진은 환자중 항생제 클래리트로마이신 내성이 관찰된 환자군에서 케이캡과 란소프라졸의 제균율을 살폈다. 케이캡은 16명 내성환자중 4명만 균을 박멸했다. 란소프라졸의 경우 내성환자 14명에게서 제균에 성공한 건수는 없었다.

제균에 실패한 환자의 경우 2,3차 제균요법을 통해 모두 치료, 요소호기 검사(urea breath test, UBT)에서 모두 음성 결과를 보여줬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 맞물린 연구기간에도 불구 환자들의 투약지침을 잘 따랐으며 부작용도 제균요법을 중단하지 않는 경미한 수준이었다. 5명만 중증도이었으며 심각한 부작용과 유의미한 차이는 두 성분간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1주 이상으로 치료기간을 연장하거나 항생제의 양을 늘리는 것보다 강력한 산 억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의견을 냈다.

결론적으로 케이캡과 란소프라졸 기반 1차 제균 치료의 성공율은 비스무트와 함께 투약시 허용가능한 내약성과 함께 82%의 성공율을 초과했다며 비스무트 병용이 치료효과을 높이는데 이상적이라고 제안했다.

아울러 클래리트로마이신 내성 균주에 효과가 제한적이었다며 이에 대한 극복을 위해 더 긴 기간과 고용량의 캐이캡 투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연세의학저널 온라인판에 최근 게시됐다.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190

최은택 기자/ 승인 2021.07.27 06:55

건보공단, 누적 33조7441억원...전년 동기 대비 5.7% 늘어

코로나19 사태로 전반적으로 줄어들었던 요양급여비 지출이 올해 2분기 들어 눈에 띠게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의원급 의료기관의 경우 20% 가까이, 약국도 두 자리 수 성장했다.

26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올해 2분기(지급일 기준)까지 지급된 급여비는 총 33조7441억원 규모다.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조8213억원(5.7%) 증가했다. 1분기는 16조17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4008억원(-2.4%) 감소했는데, 2분기에는 17조7271억원으로 2조2221억원(14.3%) 늘어 반등한 것이다.


의료기관의 경우 27조1619억원으로 6.2%, 약국은 6조5823억원으로 3.7%를 상승했다. 분기별로는 1분기 의료기관 -2.4%/약국 -5%, 2분기 의료기관 +14.3%/약국 +13.1%로 2분기 반등세가 뚜렷했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상급종합병원 10.3%, 치과 8.0%, 의원 7.2%, 종합병원 5.3% 순으로 증가폭이 컸다. 반면 보건소와 요양병원은 각각 -18.8%, -3.6%로 감소했다.

의원급 의료기관의 경우 1분기에는 4.1% 줄었다가 2분기에 19.7%나 큰 폭으로 성장했다.

치과는 1분기 1.8%, 2분기 14.5%로 상승세를 이어갔는데 역시 2분기 증가세가 뚜렷했다. 한방은 1분기 -4.5%에서 2분기 +14.9%로 급반등했다.

약국도 1분기 -5%에서 2분기 +13.1%로 큰 폭의 상승세로 전환했다.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200

엄태선 기자/ 승인 2021.07.26 23:34

지배구조 단일화로 경영 전반 시너지-비용절감 효과
26일 공시...화장품-건기식 사업 매출 발생 안정적 운영

셀트리온그룹의 지주사가 하나로 통합된다.

그동안 셀트리온홀딩스와 셀트리온헬스케어홀딩스로 나눠져 있었다.

셀트리온홀딩스는 26일 공시를 통해 이같은 사실을 알렸다.

이번 회사합병은 셀트리온홀딩스가 셀트리온헬스케어홀딩스와 셀트리온스킨큐어를 흡수합병하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 셀트리온그룹의 지배구조를 단일화하고 경영업무 전반의 시너지 및 비용절감 효과를 창출해 기업가치를 제고하기 위함이다.

특히, 합병회사 셀트리온홀딩스가 순수지주회사로서 매출이 발생하지 않는 것과 달리 피합병회사 셀트리온스킨큐어는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합병 후 존속회사는 셀트리온스킨큐어가 영위하던 사업활동을 같이 영위하는 사업지주회사로 변경될 예정이다.

이에 셀트리온홀딩스는 합병 후 지주회사로서의 수익과 함께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통한 매출이 발생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또 부채비율이 낮은 셀트리온헬스케어홀딩스 및 셀트리온스킨큐어와의 합병을 통해 재무건전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셀트리온홀딩스는 합병 후 단일화된 지주회사 체제와 안정된 재무건전성을 바탕으로 지주회사 행위제한요건 충족 능력을 강화하고 셀트리온그룹의 미래 신규사업에 대한 활발한 투자를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준비할 예정이다.

셀트리온홀딩스과 셀트리온헬스케어홀딩스, 셀트리온스킨큐어의 합병비율은 보통주 1 : 0.5159638 : 0.0254854이다.

이와 관련 합병일정은 오는 9월16일 주주총회를 개최하며 합병등기예정일자는 오는 11월 4일이다. 셀트리온홀딩스 주식매수예정가격은 2257만3958원이다.


Tag
#셀트리온홀딩스 #지주회사 #통합 #셀트리온스킨큐어 #헬스케어홀딩스

http://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19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