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은택 기자 / 승인 2021.05.03 06:05

앱스틸라주, 투여횟수 줄여 편의성 개선 혜택
SK케미칼 기술이전 받은 호주계 제약사 제품
6월1일부터 건보 적용...예상청구액 연 56억원

A형 혈우병치료제인 씨에스엘베링코리아의 앱스틸라주(로녹토코그알파)가 A7 국가 중 급여 등재돼 있는 5개 국가 조정평균가의 40%중반대 수준에서 국내 상한금액이 결정됐다.

국내 대체약제 가중평균가로 급여적정 평가를 받은 결과인데, 국내 대체약제와 비교와 효과는 대등하면서 투여횟수는 줄여 환자들에게 혜택을 줄 것으로 보인다.

예상청구액은 연 56억원, 대체약제가 있어서 추가 소요재정은 없는 것으로 평가됐다.

또 호주계 제약사인 씨에스엘베링이 SK케미칼로부터 기술 이전을 받아 개발한 혈우병치료제라는 독특한 이력으로 눈길을 끌었던 약제이기도 하다. A형 혈우병은 혈액응고 제8인자의 선천성 결핍으로 발생하며, 앱스틸라주는 혈액응고 제8인자를 대체하는 유전자재조합 단백질이다.

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앱스틸라주는 'A형 혈우병 성인 및 소아 환자의 출혈 억제 및 예방, 출혈 예방 또는 빈도
감소를 위한 일상적인 예방요법, 수술 전후 예방'에 사용하도록 지난해 1월20일 국내에서 시판 허가됐다. 대상 추정 환자수는 1,200명 규모.

회사 측은 같은 해 4월29일 급여 등재 신청했다. 이어 같은 해 12월 3일 심사평가원 약제급여평가위원회는 평가금액(대체약제 가중평균가) 이하 수용 조건부로 급여 적정하다고 심의했고, 회사 측이 이를 수용해 건보공단 협상에 넘겨졌다. 건보공단과 예상청구액 협상은 올해 1월19일부터 3월19일까지 진행돼 타결됐다.

앞서 앱스틸라주는 임상시험 결과 대조군 대비 임상적 유용성이 유사한 것으로 평가됐다. 반감기를 연장시켜 기존 약제 대비 투여횟수는 주 3~4회→주 2~3회로 줄였다. 대조군은 애드베이트주였다. 교과서에서는 8인자 대체요법 중 유전자재조합 제제로 소개돼 있고, 임상진료지침에서 사용 권고돼 있는 것도 확인됐다.

비용효과성은 대체약제 가중평균가(625원/IU) 이하로 비용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됐다. 생물의약품의 경우 가중평균가 이하 수용 시 약가협상 생략이 가능하다. 대체약제로는 애드베이트주, 진타솔로퓨즈프리필드주, 그린진에프주 등이 포함됐다.

한국혈전지혈학회, 대한혈액학회 등 관련 학회는 기존 약제와 비교해 효과가 대등하고, 투여횟수를 줄일 수 있어 편의성이 개선됐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A7 국가 중에서는 미국, 이탈리아, 일본, 스위스, 독일 등 5개국에 등재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정평균가는 IU당 1274.72원~1350.89원이었다. 대체약제 가중평균가로 정해진 국내 상한금액(625원)은 5개국 조정평균가와 비교하면 49~46% 수준이다.

복지부는 "건보공단과 회사 측은 협상을 통해 임상적 유용성을 반영한 점유율 등을 고려해 예상청구액을 56억원으로 합의했다. 대체약제가 존재해 추가 재정소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급여는 회사 측의 공급가능 시점을 고려해 6월1일부터 개시하기로 했다.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9375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5.03 06:08

오픈이노베이션으로 연구개발 활발...1997년 건일약품서 현 상호로
02년 '펜믹스'이어 '오송팜', STH Pharm, BrioPharma, 정동제약 설립
'로수메가' 이탈리아 수출...유럽-몽골 허가 등으로 해외진출 본격화

이처럼 해외 글로벌제약사들과의 기술제휴를 많이 한 곳도 없다. 첫 발을 내딛은 1955년 이후 거의 매년 글로벌제약사와 손잡는 일에 몰두한 제약사가 있다. 그 주인공은 건일제약이다.

건일제약은 부산에서 건일약품으로 시작했다. 처음 기술제휴는 1979년이었다. 머크사와 기술제휴를 시작으로 85년 미국 메렐다우사와, 86년에는 와이어스와 기술제휴를 통해 관절염치료제 '로딘'를 발매했다.

이후 90년대에 들어서 더욱 활발하게 기술제휴에 뛰어들었다. 91년 미국 셰링 플라우, 92년 산도즈와 항생제 '아모크라' 발매, 94년 스위스의 솔코 바젤과 갱년기 장애 치료제 '솔코스프렌' 발매를 했다.

이런 과정 중 97년 기존의 건일약품을 지금의 건일제약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건일 중앙연구소를 증축해 연구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했다.

1998년 프랑스 바이오코덱스와 효모균 정장제 '비오플'을 발매해 현재까지 주요품목으로 자리잡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스페인 테덱 메이지에 이어 2002년 미국 보슈롬과 기술제휴를 통해 '오큐바이트'를 비롯한 안과제품을 시장에 선보였다. 같은해 관계사인 페니실린 생산 전문기업 '펜믹스'를 설립하고 현재 최대주주인 김영중 대표이사가 취임했다.

특히 2004년에는 스위스 노바티스, 스페인 비타비나스, 프랑스 에스엠비, 일본 센쥬, 노르웨이 프로노바의 오메가3 '오마코'에 대한 기술제휴를 체결했다. 이듬해에도 미국 비라겐사와 '멀티페론'의 한국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하고 2006년 바이오신텍사 등 매년 새로운 해외 기업들과의 제휴를 진행하면서 기술력을 키워나갔다. 2012년과 2016년 이스라엘 뉴림과 불면증치료제 '서카딘'가 소아 수면장애 치료제로 개발중인 'Slenyto' 도입했다.

최근에는 해외시장에도 눈을 돌렸다. 2018년에는 이탈리아 에스피에이사와 수출계약 체결을 통해 고지혈증치료제 '로수메가'를 수출했다. 지난해는 '로수메가'를 유럽과 몽골에서 허가를 받아 본격적인 해외시장 진출을 꾀하고 있다.

아울러 자회사도 하나둘씩 만들어갔다. 2009년 대만 TTY로부터 투자를 유치했고 같은해 자회사 일본 수출입전문기업 '오송팜'을 설립했다. 2012년 'STH Pharm'에 이어 2017년 'BrioPharma'를, 2020년 정동제약을 설립하면서 각각의 전문성을 키워나가고 있다.

해외에서 인정받은 제품을 국내에 소개를 넘어 잊는 '삶의 질 개선에 공헌하는 글로벌 제약기업'의 비전 아래 개량신약과 복합제 등 차별화된 제품 연구개발에 주목하고 있는 건일제약.

현재의 주요제품과 실적, 연구개발 등을 잠시 살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주요제품과 그간의 실적

건일제약 하면 떠오르는 것은 뭐니해도 '오마코'이다. 그만큼 건일을 대표하는 중심품목이다.

'오마코'의 지난해 기준 유비스트 처방조제액 예상치가 317억원이었다. 해외 수출길에도 오른 '로수메가'가 93억원, '비오플250'이 66억원, '아모크라 네오' 21억원, '풀미칸'과 '아모크라듀오'가 18억원대, '아모크라'가 14억원, '오마코 미니' 13억원, 웰콘 12억원을 나타냈다. 전체 '오마코'는 330억원, '아모크라'는 53억원 가량을 국내 처방시장에서 매출을 올리고 있었다.

그간의 매출을 보면 1999년 277억원에서 의약분업이 있던 2000년 361억원, 2001년 458억원, 2002년 538억원, 2003년 545억원, 2004년 579억원, 2005년부터는 종속회사와의 연결로 724억원, 2006년 781억원, 2007년 849억원, 2008년 1019억원으로 처음 1000억원대 제약사로 발돋음했다.

2009년 1197억원을 기록한 후 다시 연결에서 단일기업으로 매출을 집계, 904억원을 나타냈다. 2011년 875억원으로 뒷걸음질을 쳤다. 2012년 757억원, 2013년 784억원을, 2014년 857억원, 2015년 854억원, 2016년 887억원으로 더딘 성장세를 보였다.

이후 2017년 1017억원으로 다시금 1000억원대에 진입했다. 2018년 1136억원, 2019년 1146억원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지난해 1036억원으로 내려앉으면서 저조했다.

 

◆연구조직과 연구개발과제

건일제약은 R&D본부에 신기술 및 신제형 개발하는 제제팀과 신규과제 기획과 과제 관리하는 R&D기획팀, 기시법 개발 분석팀, 제휴 및 라이센싱을 담당하는 사업개발팀이 있다.

메디칼본부는 임상시험과제 기획과 수행, 관리하는 임상팀, 인허가-약가를 담당하는 메디칼팀으로 나뉜다.

연구분야는 개량-복합신약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 신규복합제와 제형변경의약품, 기존 제품의 신규적응증 개발에 나서고 있다. 연질캡슐 복합제 개발과 개선된 만성질환 및 다양한 질환 치료제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주요 연구개발과제는 고지혈증 5건, 심혈관질환 1건, 고지혈증-당뇨 1건, 고지혈증-고혈압 1건, 여성성욕구장애 1건은 연구시작단계, 여성성욕구장애 비임상 1건, 고지혈증치료제 'KI3006' 임상3상과 ' KI1114' 허가등록중이다. 고지혈증 'KI1107'와 철중독 'KI1115'은 발매됐다. 지난해 로수메가, 아토메가, 오마코 미니캡슐 등에 62억원의 개발비를 투입했다.

한편 오송팜이 47.12%의 지분을 보유해 최대주주이다. 오송팜의 최대주주는 김영중 대표이사로 57.6%의 지분을 가지고 있어 실제 소유주다. 김영중 대표이사는 창업주인 고 김용옥 회장에 이어 회사를 이어받았다. 김용옥 회장의 차남이다.

건일제약의 자본금은 46억원이며 자본총계는 1682억원이다. 부채는 266억원이다.

종속계열회사는 펜믹스의 49% 지분을, STH PHARM 65.6%, 오송팜 13.4%, 정동제약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정동제약은 지난해 9월 주주총회에서 흡입제 생산라인 부문을 분할해 정동제약에 이전하고 정동제약의 지분 100%를 소유하는 물적분할했다. 지난해말 기준 299명이며 지난 3월 기준 평균임금은 4000만원에서 5000만원이었다.

건일제약은 66년의 전통이 있는 제약회사이다. 70년대부터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지속적인 기술제휴를 통해 해외진출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력을 키워가고 있다. 향후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어떤 오픈이노베이션을 추진할 지 관심이 모아지는 부분이다. 국내 제약사에 새로운 방향성을 보여줄지 주목된다.

자세한 내용은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9372

  • 주경준 기자
  • 승인 2021.05.03 06:12

FDA자문위, 면역항암제 6개 적응증 유지 찬반투표 결과

'빅3' 면약관문억제제의 적응증 유지 여부에 대한 미국DA 자문위원회 결과가 도출됐다. 결과는 티쎈트릭 2개 적응증 유지, 키트루다 3개 중 2개 유지-1개 반대, 옵디보 1개 적응증 반대가 자문위 의견이었다.

FDA 종양 약물 자문위원회는 키트루다, 티쎈트릭, 옵디보의 6개 가속승인 적응증 정식승인 전환(유지) 여부에 대해 지난주 3일간 회의를 실시해 4개 적응증은 유지하고 2개 적응증은 유지반대 의견을 제시했다. 이를 토대로 FDA는 가속승인을 정식승인으로 전환할 지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먼저 가장 긍정적 결과를 얻어낸 품목은 로슈의 티쎈트릭. 유방암과 방광암 등 2건에 대한 가속승인 적응증 유지 여부를 묻는 자문위원회 찬반투표 결과, 각각 7대2, 10대1로 찬성의견이 높았다. 찬반비율도 안정적이다.

미국 머크의 키트루다는 총 3건의 적응증 중 방광암과 간암에 대한 찬반 투표결과 5:3으로 찬성의견을 받아냈다. 반면 위암에 대해서는 2:6으로 반대 의견이 많아 적응증 유지 전망을 어둡게 했다.

BMS의 옵디보의 경우 간암 적응증에 대해 4:5로 반대의견이 더 많아 자문위의 지지를 얻는데 실패했다. 2017년부터 유지돼 온 가속승인이 취소될 위기다.

FDA는 자문위 의견을 토대로 앞으로 승인 유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통상 자문의 의견이 준용되나 찬반의견이 비등한 키트루다의 2개 적응증과 옵디보 1개 적응증에 대한 FDA 최종 결정이 자문위 결과와 동일할 지는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여러 외신들은 3일간 이뤄진 종양 약물 자문위원회의 활동이 향후 현재 허가된 항암제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가 이뤄지는 방향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2011년 이후 기허가된 항암제에 대해 실질적인 임상적 효용성에 대한 검토가 없었다며 이에 대해 의료계의 검토 필요성 제기되고 있고, 항암제 지출에 대한 부담이 높아짐에 따라 FDA가 전체적인 점검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에 근거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