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은택 기자
  • 승인 2021.02.01 06:27

양윤석 보험약제과장 "제약 소송 헌법상 보장된 권리"

 

양윤석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장은 제약사들이 제기하고 있는 보험의약품 관련 일련의 소송은 헌법상 보장된 권리로 존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급여의약품은 효과가 전제돼야 하는 만큼 정부와 보험당국 입장에서도 기등재의약품에 대한 적정성 재평가를 진행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또 집행정지 약제 약품비 환수관련 법률안은 법리검토를 충분히 하면서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양 과장은 지난 29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종료 직후 전문기자협의회 소속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이 말했다. 양 과장은 이날 제약계 초미 관심사 중 하나인 약가인하 소송 관련 집행정지 환수 제도 개선에 대해 언급했다. 관련 법률개정안을 검토하고 있는데, 아직 세부적인 방안이나 입법형태 등은 결정된게 없다는 내용이었다.

지난해 건보공단이 수행한 '약가인하 소송 관련 집행정지 분석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고려대산학협력단 박종수 법학전문대학원 교수팀)을 참고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약가인하 소송 관련 집행정지 현황과 문제점, 집행정지 제도 관련 개선(대응) 방안 등이 검토됐는데, 비공개 대상으로 분류돼 내용이 외부에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다음은 양 과장과 일문일답.

-건정심 자료보면 집행정지로 인한 재정손실 보전 등 제도개선 방안마련을 상반기부터 추진한다고 했는데

=집행정지 약제 급여 지급에 문제가 있다는 데 대해서는 이전부터 인식하고 있었다. 작년 국회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됐고, 이후 (집행정지 기간 중 지급된 약품비 등을 환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개선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다만 아직은 구체적인 걸 말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

-제도개선이면 법률개정을 전제로 하는건가

=제도개선이라면 (당연히) 법률 개정을 의미하지 않겠나.

-건보공단에서 작년에 관련 연구를 수행했는데, 해당 연구결과가 토대가 되는건가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7624

  • 주경준 기자
  • 승인 2021.02.01 06:28

심평원, 심사기준 수진자 현황...약품비는 4% 증가

약국의 처방조제 환자수가 코로나 19의 여파로 직전연도 대비 지난해 2,586만명 줄었다. 감소율은 10%,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보훈환자를 포함한 수치다.

3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실이 공개한 심사기준 수진자 의약품사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약국에서 처방조제를 받은 수진자는 2억 4,271만명으로 19년 2억 68581명 대비해 2, 586만명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 19영향을 받기 전인 1,2월은 환자수가 직전년도 대비 증가했으나 3월 이후 처방조제 환자 크게 감소했다. 3월 이후 환자수 감소는 2,641만명으로 감소율은 12%다.

환자수가 줄어든 반면 처방조제 약품 사용금액은 19년 대비 4% 증가했다. 의약품 사용금액은 19년 14조 8,487억원에서 지난해 15조 3,688억원으로 5,201억원 늘었다. 의약품 사용량이 적은 어린이환자가 감소한 반면 만성질환 처방조제가 성장세를 유지, 마이너스 성장을 피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7610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2.01 06:29

피부과 처방액 1위, 비뇨기과 상위권 유지...연구개발 성과
1970년 동구약품 창업 이후 동구제약, 2014년 현 상호 변경
2018년 코스닥 상장과 연구개발센터 확장 등 회사규모 확장
최근 의료기기-화장품 등에 줄기세포 치료시장에 전략 접목

지난 51년간 동쪽의 언덕(동구, 東丘)으로 향해 줄기차게 달려가는 제약이 있다. 1970년 창업 이래 '그러나 된다'는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지속 성장을 이끌어내고 있는 동구바이오제약이다.

동구바이오제약은 최근 제약과 바이오를 지향해 진단과 예방, 치료, 관리를 하는 '토탈 헬스케어 리더'로 발돋음하지 위한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특히 강점인 피부 및 비뇨분야를 한층 성장발전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주력하는 한편 신성정 동력을 모색에도 주목하고 있다. 반세기를 넘어선 동구바이오제약은 개량신약은 물론 복합제신약 및 제네릭에 대한 연구개발 활동을 하면서 관련 특허 취득과 MLE 적용 제품 상용화, 제형제조기술, 약물전달체계 응용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셀블룸 등 코스메슈티컬 사업에 눈을 돌려 사업확장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동구바이오제약은 고암 조동섭 회장이 동구약품으로 창립한 제약기업으로 1977년 활성형생균정장제 벤투룩스캡슐 생산에 이어 1989년 KGMP공장 완공, 1990년 중앙연구소 설립, 1997년 잇몸약 전문치료제 덴트헬스연고를 일본 라이온사와 기술제휴해 발매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상호를 동구약품에서 동구제약으로 변경한 이후 수출 100만불을 달성하고 2005년 조용준 대표이사 사장이 취임했다. 2014년 동구바이오제약으로 다시 사명을 변경하고 현재에 이르렀다. 2016년 셀블룸을 런칭한 후 2018년 코스닥 상장과 판교 R&D센터 확장 이전을 통해 회사 규모를 키우고 연구개발에 보폭을 넓혀가고 있다.

동구바이오제약이 주요제품과 연구개발 현황 등을 통해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살펴봤다.

◆주요 제품과 최근 매출실적 현황

피부과 관련해 항히스타민제 '알레스틴정'과 피부 가려움 및 건선치료제 '더모타손MLE크림-로션', 비뇨기과인 전립선치료제 '유로파서방정', 전립선비대증치료제 '유로리드', 동맥경화용제인 '아토스탄', 항생제 '크래빅스', 유즙분비억제제 '카버락틴정' 등과 CMO 제품이 다수 있다. 기타 '스마트엑스' 등 의료기기와 화장품을 공급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www.newsthevoice.com/news/articleView.html?idxno=17607

+ Recent posts